본문 바로가기
읽을 거리/재미있는 역사

조선시대 4대 사화 - 그 원인과 결과는?

by 파란토마토 2007. 11. 9.

조선 중기에 사림파들이 훈구파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
원래 '사림(士林)의 화'라는 말로서, 사림파의 입장에서 쓴 말이다.

1498년(연산군 4)의 무오사화(戊午士禍), 1504년의 갑자사화(甲子士禍), 1519년(중종 14)의 기묘사화(己卯士禍), 1545년(명종 즉위)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있다.

사림이란 용어가 공식적으로 자주 쓰이게 된 것은 학통으로 보아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김종직(金宗直)으로 이어지는 신진사류가 15세기 후반에 중앙정계에 진출하면서부터였다.


성종 연간에 처음으로 김종직·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 등이 정치세력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근거지역을 기준으로 영남사림파와 기호사림파로 나누어지기도 하는데, 주로 비거족계(非鉅族系) 재지사족 출신이 주축이 되고 일부의 훈구계 가문 출신이 포함되었다. 이들의 활동시기는 크게 나누어 성종과 연산군 초기에 일어난 무오·갑자 사화에 의하여 축출될 때까지와, 중종반정 이후 점차 세력을 형성했던 중종 연간의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사림파는 기존의 정치세력에 대한 비판활동을 전개하면서 자신들의 정치사상을 실천하고자 했다.

 이에 반해 훈구파는 정치권력을 장악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각종의 특권을 독차지하고 부정부패를 일삼았다. 그런데 보다 강력한 인신적 지배예속을 매개로 농장과 같은 것을 통하여 토지를 광점하고 농업인구를 독점하고 있었던 훈구파에 대하여, 방천(防川) 등을 통하여 자신의 농지를 확대하면서 소농을 기초로 경제력을 키우고 있었던 사림파는 그러한 행위들이 자신들의 경제적 기초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무오사화는 김종직이 사초로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단이 되었기 때문에 사화(史禍)라고도 한다. 이는 물론 그 글의 옳고 그름에 대한 문제가 아니었다. 유향소 복립 운동을 하면서 훈구파와 대립하고 있었던 사림파가 훈구파가 저지른 각종의 경제적 비리를 비판했던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갑자사화는 무오사화로 사림파가 제거된 상태에서 연산군과 궁금(宮禁) 세력이 훈구파까지 제거한 사건이었다. 이것은 훈구파가 가지고 있던 각종의 재산을 탈취하려는 의도였다고 하지만, 정치세력의 배치로 보면 조선시대의 관료제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한 결과였다. 조선의 관료제는 군주의 권한이 절대적이라든가 전제적일 수 없는 것이었는데, 이미 무오사화를 통하여 관료의 상당 부분이 약화된 상태에서 관료세력에 대한 타격이 군주에 의해서 재차 이루어졌다.

기묘사화는 1515년(중종 10) 왕비 책립 때의 대립을 시작으로 급진적이고 배타적인 사림파를 위훈삭제(僞勳削除) 사건으로 제거한 것이다. 중종반정 이후 얼마간은 반정을 주도한 훈구파에 의하여 정국이 운영되었다. 1515년 무렵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사림파가 정계에 다시 진출하면서 반정공신의 위훈삭제를 계속 주장하는 한편, 천거제인 현량과(賢良科) 실시를 강력히 주장하여 자파인물을 모으고, 향촌사회에서의 향약실시와 〈소학〉을 강조하면서 군주의 수기(修己)를 역설했다. 그러나 위훈삭제 결정이 있자 곧 사화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기묘사화 이후 향약은 일시 시행이 정지되었으며 〈소학〉은 금서아닌 금서가 되어 감추어지기까지 했다.

을사사화는 인종의 외삼촌인 윤임(尹任)을 명종의 외삼촌인 윤원형(尹元衡)이 몰아낸 사건이다. 기묘사화로 사림파는 크게 타격을 받았고 20년이 지난 이후 서서히 정계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사림파를 비호했던 윤임이 인종이 죽고 명종이 즉위하자 제거된 것이다. 싸움은 외척간에 벌어졌으나 사림파도 다수 제거되었다.

이밖에도
정미사화(丁未士禍) 등의 작은 사화가 몇 차례 일어났다. 사화는 대개 훈구파와 사림파로 나뉘는 세력간의 다툼이었다. 즉 지배계급 내부의 다툼으로 일어난 정치론의 차이와 경제적인 이해관계의 갈등이 일으킨 사건이었다.



관련글
조선시대 당쟁 주요사건
조선시대 당쟁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