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시대 성종 때 연산군의 생모였던 폐비 윤씨(廢妃 尹氏)가 임금의 용안에 흉터자국을 내어 폐비된 사건은 역사에 무지한 사람일 지라도 다 아는 사실일 것이다. 물론 이것은 정사인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 아닌 야사(野史)에 기록된 이야기이다. 중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즉, 임금의 용안에 상처를 입혀서 폐위된 황후의 이야기가 야사에 전해내려오고 있으니 이를 여기서 소개하고자 한다.


송나라(960-1279)의 4대 황제는 인종황제(仁宗皇帝 : 재위 1022 - 1063)때의 일이다. 아시는 분은 알겠지만, 인종은 명판관 포청천(包靑天)이 활약하던 시대에 통치했던 황제이다. 사극 <포청천>을 보면 알겠지만, 살쾡이 태자의 사건의 이야기로도 유명한 임금이다.(살쾡이 태자의 이야기를 알고 싶으신 분은 네이버에서 검색하시면, 제가 올려놓은 지식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어쨌든, 인종은 송나라가 최고 잘나가던 시기에 재위했던 현군(賢君)이었다.


인종의 첫황후는 곽씨(郭氏)였다. 곽황후는 인종이 태자였을 떄 황태자비가 된 어찌보면 조강지처격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곽황후는 원래가 나서기를 좋아하여 항상 조정의 대소사에 관심을 가지고 참견하기를 좋아하였다. 인종이 생모였던 신비 이씨(宸妃 李氏 : 진종의 후궁이었다)를 장의황후(章懿皇后)로 추존할 때, 적모(嫡母)였던 장헌황후 유씨(章獻皇后 劉氏)의 섭정기에 총애를 받았던 재상들을 좌천시켰다. 여기에는 여이간(呂夷簡/978 - 1043)이라는 재상도 포함 되어 있었다. 그런데, 원래 여이간은 장헌황후에게 인종의 생모가 죽었을 당시 후장(厚葬)할 것을 간한 관료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좌천된 이유는 곽황후(郭皇后)의 조언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여이간은 파면된 이유를 알아보고자 환관 염문응(閻文應)을 사주해서 어떻게 된 내막인지 알아보게 하였고, 곽황후가 인종에게 자신을 좌천시킬 것을 권유했다는 사실을 알고, 염문응과 함꼐 곽황후를 제거하기로 모의했다. 우선 여이간은 자신이 장의황후의 장례를 위해 애쓴 사실을 인종에게 부각시켰는데, 그 공로로 다시 재상의 자리에 복귀할 수 있었다. 여이간은 권력을 다시 잡게 되자 염문응과 더욱 밀착해서 곽황후를 제거하는 일을 추진했다.


바로 이 때 인종의 처첩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났는데, 염문응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용했다. 당시 인종이 가장 총애하던 후궁은 두 명이 있었는데, 한 사람은 양미인(楊美人)이고, 또 다른 사람은 상미인(尙美人)이었다. 두 사람은 서로 인종의 총애를 독차지하려고 아귀다툼을 하면서도 곽황후에 대처할 때는 단짝이 되었다. 따라서 곽황후와 두 미인과의 갈등은 점차 깊어갔다. 게다가 곽황후는 지고는 못 사는 성격이어서 툭하면 두 미인에게 호통을 쳤다.


한번은 곽황후가 인종 앞에서 상미인을 나무랐는데, 상미인은 인종만 믿고서 곽황후에게 몇 마디 대꾸를 했다. 곽황후는 그만 분통이 터져서 상미인의 빰을 때렸다. 상미인은 감히 맞서지를 못하고 울며불며 인종의 뒤에 몸을 숨겼다. 곽황후는 쫓아가서 손을 날렸는데, 실수로 인종의 목을 때려서 손자국이 생기고, 상처가 크게 났다. 인종이 크게 화를 내자 곽황후도 속이 얼어붙었다. 곽황후가 얼른 사죄하면서 용서를 빌었지만, 인종은 화가 나서 그 자리를 떠났다.


이 광경을 지켜보던 환관 염문응은 드디어 기회가 왔다고 포착하고, 그는 불에 기름을 붓는 식으로 곽황후의 고약한 점을 인종에게 고자질해서 마침내 인종으로 하여금 곽황후를 폐할 결심을 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인종은 정이 많고 유약한 사람인지라 황후를 폐할 경우 대신들의 강한 반대에 직면할 것이 두려웠다. 그래서 염문응에게 물었다.

"대신들이 이의를 제기하면 어찌할 것이냐"

염문응은 당나라때 고종이 왕씨를 폐하고, 측천무후를 세웠던 고사를 들먹이며 그 때 재상이었던 이적(李勣)이 말했던 말을 상기시켰다.

"황후 폐립은 본래 폐하의 가정일이기 때문에 조정의 대신들은 간섭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폐하께서 대신들과 의논하시겠다면 그 또한 영명하신 조치라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목에 난 상처는 대신들에게 보이지 않는 것이 좋을 듯하니, 재상 여이간만을 불러서 그가 대표로 확인하도록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재상이 이의가 없다면 다른 대신들도 굳이 만류할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인종은 일리가 있다고 생각되어 즉시 여이간을 궁중으로 불러들었다. 여이간은 이미 염문응과 내통하고 있었기 때문에 인종의 목에 난 상처를 보자 즉시 마음이 아픈 척 했다. 그리고 옛사례를 들어가면서 곽황후를 폐하라고 권유했으며, 이 일을 반대하는 대신이 있다면, 군신간의 대의를 모르는 자이므로 관직을 파면하라고 말했다.


마침내 인종은 황후폐립을 공론에 붙였고 대부분의 대신들은 인종과 여이간의 뜻에 영합하였으나, 어사대 간관(諫官)이었던 범중엄(范仲淹/990 - 1053)은 그의 직책상 경망하게 황후를 폐할 것이 아니라고 인종에게 극간하였다. 그러나 여이간은 범중엄을 지방관으로 좌천시켰고, 범중엄에 동조하는 간관들을 범중엄의 도당으로 낙인찍어 모조리 탄압하고 좌천시켜버리는 등의 횡포를 저질렀다. 여이간의 농간에 의해 인종은 어쨌든 곽황후를 폐할 수 있었다. 표면적인 이유는 곽황후가 임금의 용체에 상처를 입혀서가 아닌 아이를 낳지 못한다는 이유였다. 이 때가 명도 2년(1033년)의 일이다.


곽황후를 폐한 후 염문응은 더욱 황제의 신임을 얻게 되었다. 그 뿐 아니라 후궁의 비빈들도 그에게 경외심을 품게 되었다. 특히나 상미인과 양미인은 어떻게 감사를 드려야 할 지 몰라했다. 두 미인은 원래 경박한 자들이어서 곽황후를 폐한 후에는 인종에게 밀착하여 매일같이 인종의 시중을 들었다. 결국 인종은 병상에 드러눕게 되는데(쉽게 말하면,,,매일 두 미인과 방사를 벌린 셈이지요)궁정 안팎에서는 두 미인이 너무 방탕해서 인종을 해쳤다는 의견이 분분했다.


염문응은 황제로부터 더욱 두터운 신임을 얻을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여러차례 인종에게 건강에 유의할 것과 두 미인을 멀리할 것을 권유했다. 인종은 짜증이 난 상태였기 때문에 한마디로 승낙했다. 염문응은 인종의 말이 떨어지자마자 두 미인이 거주하고 있는 곳으로 가서 두 미인을 강제로 수레에 실어서 궁전 밖으로 내쳤다. 두 미인이 눈물을 흘리면서 사죄했으나 염문응이 인종의 뜻임을 강조했기 때문에 누구도 막을 수 없었다. 이튿날 염문응은 인종에게 두 미인을 내쫒은 일을 보고했다. 인종은 깜짝 놀랐서 후회했으나, 이미 쫓아낸 사람을 다시 불러올 수도 없어 현실을 그냥 그대로 받아들였다.


인종은 건강이 호전되자 염문응의 충성심을 더욱 깊이 느끼게 되었고, 조정 안팎에서도 염문응을 나라에 충성하는 환관이라고 했다. 두 미인을 축출한 후 인종은 다시 곽황후를 생각하게 되었으며, 급기야는 곽황후를 다시 황후로 복위시킬 생각까지 갖게 되었다. 염문응은 그 소문을 듣고 근심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곽씨가 복귀하면 자신에게 불리할 것이 뻔했기 때문에 그는 적당한 기회를 잡아서 곽황후를 죽이려 했다. 마침 궁중에서 쫓겨나 사가에서 머물던 곽황후가 대수롭지 않은 병에 걸렸는데, 염문응은 의사를 협박하여 병에 맞지 않는 처방을 내리라고 강요했다.
결국 곽씨의 병은 점점 더 악화되다가 끝내 죽음에 이르렀다.

곽황후를 죽인 염문응은 더 이상 거리낄 것이 없었고, 권력을 등에 입고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거나 사람을 해쳐서 인망을 잃게 되었고, 결국 어사대 간관의 탄핵을 받아 귀양지인 상주(相州)에서 죽었다.


몇가지 이야기를 덧붙이겠습니다.

1. 곽황후가 그렇게 죽은 뒤 인종은 후궁에 있었던 불미스런 일들을 반성하고, 명문가의 조신한 처녀를 황후로 맞아들였는데, 그녀가 개국공신 조빈(曺彬)의 손녀였던 광헌자성황후 조씨(光獻慈聖皇后 曺氏)였다. 역시나 그녀는 인종의 기대를 져버리지 않고 항상 예의와 법도를 잃지 않았다.

2. 여이간이 범중엄을 축출한 이후 벌여져던 10년간의 당쟁을 경력의 당의<慶曆黨議>라고 한다. 1033년 범중엄을 좌천시킴으로써 여이간의 승리로 굳어지는 듯이 보였으나 1034년 다시 범중엄은 컴백하여 여전히 여이간을 비평하다가 1036년 다시 여이간에 의해 축출되었다. 이 때 윤수(尹洙), 구양수(歐陽修) 등도 같이 축출되었다. 조정의 한기(韓琦), 부필(富弼) 등은 범중엄의 편에 서고, 여이간의 편에는 왕공진(王拱辰), 하병(夏倂)등이 있었다. 여이간이 10년간의 재상임기를 마치고 병으로 은퇴하자, 조정은 범중엄 파에게 장악되어 갔다. 이 때 구양수가 범중엄의 당을 진붕(眞朋 : 군자의 당), 여이간의 당을 위붕(僞朋 : 소인의 당)이라고 정의하였고, 황제는 위붕을 배척하고 진붕의 당과 같이 정치해야한다고 <붕당론>에서 설파하였다. 이것이 송대 붕당정치의 시작이고, 이것이 후대에 신법-구법당의 대립 더 멀리는 조선시대의 붕당정치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계속해서 간간히 중국의 역사중에 우리나라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주제를 중심으로 올려보겠습니다.

내용출처 : [직접 서술] 직접 서술,
참고 <宋史, 후비열전> http://blog.naver.com/ilove_sungho(본인의 블로그)

=========> 이 사람은 이 글을 퍼갈 때, 반드시 출처를 밝히라고 신신당부했는데... 문제는 이 사람이 네이버에서 탈퇴했다는 것이다.;;



관련글
비운의 왕비,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의 묘
폐비 윤씨 이야기 - 그녀는 왜 폐비가 되었나?
연산군 이야기 (성종, 폐비 윤씨 이야기 추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