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방사성 물질 한반도 전역 영향권…日 정부 '예상도' 첫 공개
한국경제 | 입력 2011.04.06 18:33 | 누가 봤을까? 20대 여성, 제주



4일부터 기류 따라 이동…비·바람 타고 땅에 떨어져
전라도 지역 요오드 수치…오사카·규슈지역과 비슷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지난 4일부터 사흘간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기류를 타고 한반도 전역에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전라도 지역은 일본의 오사카 규슈지역과 거의 같은 수준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일본 기상청이 지난 5일 오후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jma.go.jp/jma/kokusai/eer_list.html)를 통해 처음 공개한 방사성 물질의 확산 예측도에서 밝혀졌다. 일본 기상청은 지난달 11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 요청으로 거의 매일 이 같은 방사성 물질 확산 예측도를 작성했지만,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 5일 요미우리신문이 이 같은 예측도의 존재를 확인하고, 공개를 촉구하자 뒤늦게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렸다.

일본 방사능 물질 확산 예상도 - 일본 기상청 제공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장기화되면서 이곳에서 뿜어져 나오는 방사성 물질의 오염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 누출로 일본 태평양 연안 바다의 물고기에선 기준치 이상의 세슘이 검출되는 등 해양 오염도 심각한 상태다. 공기중으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은 바람을 타고 한반도 전역으로 날아와 한국도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국 안전지대 아니다

지난 4일 IAEA 요청에 따라 일본 기상청이 작성한 예측도에 따르면 이날부터 7일까지 3일 동안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사성 요오드131 1베크렐(Bq)이 방출됐다고 가정했을 때,이 물질이 기류를 타고 이동한 뒤 비와 바람에 맞아 땅에 떨어진 양은 일본 도호쿠(東北)와 도쿄 등 수도권이 모두 1㎡당 10조분의 1Bq 이상으로 비슷했다.

또 오사카 등 간사이(關西) 규수지역과 한국의 전라도 지역은 1000조분의 1Bq 이상으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 밖에 수도권을 제외한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지역과 대만에 떨어진 방사성 물질의 양은 10경분의 1Bq 수준으로 분석됐다. 한반도가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방사성 물질의 직접적 영향권 안에 들어간 것을 일본 정부가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후쿠시마 원전 주변의 해양 오염은 이미 치명적인 수준이다. 도쿄전력은 후쿠시마 원전 2호기 부근 전력케이블 관련 시설에서 바다로 유출되던 고농도 오염수를 6일 새벽 5시38분께 막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시설에선 지난 2일부터 4일간 지속적으로 고농도 오염수가 바다로 엄청나게 쏟아졌다.

때문에 지난 5일 후쿠시마 남쪽 이바라키현 앞바다에서 잡힌 물고기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슘이 처음으로 검출되기도 했다. 물고기에서 검출된 세슘은 1㎏당 526Bq로 일본 보건당국이 정한 건강 기준치 500Bq을 뛰어넘는 것이다. 반감기가 30년인 세슘은 바닷속 물고기가 좀 더 작은 생물을 잡아 먹으면서 물고기 체내에 쌓인 것으로 보인다.


◆日식품 금수조치 이어져

일본 주변 바다의 방사능 물질 오염이 심각해지자 인도는 일본산 식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인도 정부는 방사성 물질의 위험 정도가 용인할 수 있는 한도 내로 줄어들었다는 신뢰할 만한 정보가 나올 때까지 모든 일본산 식품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지난 5일 발표했다. 일본산 식품 전체에 대해 수입을 금지한 국가는 인도가 처음이다.

유럽연합(EU)과 오만도 일본에서 생산되는 식품과 사료 등에 대해 수입제한 조치를 취했다고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했다. EU는 WTO에 낸 통보문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현을 비롯한 일본 내 일부 지역에서 생산되거나 적재된 사료와 식품에 대해 방사성 핵종(radionuclides) 검출 여부를 검사하도록 수입 요건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오만은 일본과 후쿠시마 원전사태로 영향을 받는 모든 국가에서 수입되는 신선 · 가공식품,동물 사료에 대해 방사성 핵종에 오염되지 않았거나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193 기준을 넘지 않았다는 증명서를 제출하도록 요건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오만의 수입제한 조치는 대상국을 일본에 한정하지 않고,원전 사태로 영향을 받은 모든 국가로 규정하고 있어서 한국 중국 등 인접국의 식품 수출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한국, 방사능 공포에 '난리' ...뻔뻔한 日

일본 정부가 방사능 유출 관련 정보를 인접국인 우리나라에 제공하는 데 비협조적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지만 한국에 전달하는 정보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외교소식통은 5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현지 외교단을 상대로 주기적 설명을 하는 것 외에는 별도로 외교채널을 통해 전달해온 정보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사정은 유관 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와 산하 연구기관들도 마찬가지다. 이들 기관도 일본 정부로부터 극히 제한적인 정보만을 제공받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우리 부처들이 일본 정부가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자료나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 얻은 정보에 만족해야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실제 일본 정부는 4일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온 방사능에 오염된 물 1만1,500t을 바다에 버리겠다고 발표하면서 우리 정부에 사전 협의나 설명은커녕 통보도 하지 않았다. 수많은 한국인이 방사능 공포에 휩싸여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지나친 처사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 방출의 영향이 미미하다고 밝히고 있지만 심리적 불안감이 큰 인접국 정부에 대해 아무런 사전 설명을 해주지 않은 것은 외교적 배려가 크게 부족한 것 아니냐는 얘기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19일 교토에서 열린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한국 정부에 "후쿠시마 원전 방사성 물질 누출사태와 관련한 현황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그런데 약속을 지키려는 어떤 노력도 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우리 정부는 뒤늦게 외교적 대응을 통해 일본 측에 성의 있는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 주일 한국대사관은 4일 오후 9시 일본 외무성에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법정 기준의 100배에 달하는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는 행위는 국제법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전달하고 외무성 차원의 대책을 문의했다. 일본측은 "검출량이 허용치를 넘어갈 경우에는 오염수 방출을 재검토할 것이며 국제법 위반 여부도 확인해보겠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 같은 응답도 '사후 약방문'에 불과하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일본의 태도가 최근 일본 정부의 중학교과서 검정결과 발표 이후 냉각된 한일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 일본 국제 해양오염 방지 협약(런던 협약) 위반하고 폐기물 버려

일본이 지난 4일 방사성 물질 오염수 1만1천여t을 바다에 방출한 것은 국제해양오염방지협약인 런던협약 (London Dumping Convention : LDC)을 위반한 것이다. LDC는 수산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바다에 방사성 폐기물, 생물학전 및 화학전을 위하여 생산된 물질 등 7가지를 바다에 버리는 것을 금지하고 협약에 가입한 국가 간의 협의 증진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LDC(현재 81개국 협약국)에 가입되어 있다. 한국 정부는 이런 사실을 외면하거나 일본에 대해 항의는 커녕 극히 애매한 태도를 취해 의혹을 자초하고 있다.

일본은 이날 후쿠시마(福島) 원전에서 나온 방사능에 오염된 물 1만여t을 바다에 버리겠다고 발표하면서 인접국인 한국 정부와 사전 협의는 커녕 한 마디 통보조차 하지 않았다. 일본에서 지역적으로 가장 가까워 바다 오염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는데도 한국 정부는 언론을 통해 그 사실을 알았으며 한국 정부의 주요 당국자들은 정확한 정보가 없어 항의 여부나 대응책을 즉각 결정하지도 못했다. (조선일보 5일).

한국 정부도 오염 지역 식품 수입 중단 등 대책을 강구한다 했으나 3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일본 경유 수입 식품 14건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었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일본이 출하 정지 대상으로 지정한 지역과 품목뿐 아니라 남쪽의 효고 현이나 북쪽의 홋카이도에서 들어온 품목도 있었다. 정부는 미량이라 괜찮다고 하지만 이미 인근 지역뿐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으로 오염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물과 먹을거리마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는 사태에 이르니 지진과 지진 해일로 인한 재난 수습과 피해 복구는 뉴스에서 조차 사라졌다.
 





이건 주요 방사능 물질들의 반감기........ 
플루토늄(Plutonium)은.. 이름도 지옥의 물질...... 무시무시하다...ㅠㅠ

트리튬 12.3년
탄소14 5740년
크립톤85 10.8년
스트론튬89 52일
스트론튬90 28.8일
지르코늄95 64일
니오븀95 35일
테크네륨99 21만년
루테늄103 39.5일
루테늄106 1년
은110 252일
카드뮴113 14년
테룰루125 58일
요오드129 1630만년
요오드131 8일
세슘134 2.1년
세슘137 30.1년
세륨144 284일
프로메튬147 2.6년
뉴로튬154 8.5년
뉴로튬155 1.8년
네프륨237 210만년
플루토늄238 84년
플루토늄239 24100년
플루토늄240 6600년
플루토늄241 13.2년
플루토늄242 38만년
아메리슘241 433년
큐리윰242 163일
큐리윰244 17.6년
우라늄238 45억년
토륨232 140억년


참고로 반감기란 없어지는 게 아니라 수치가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또한, 토륨232같은 경우 140억년이 걸리기는 하지만 자연상에 원래 존재하는 방사능 물질로, 반감기가 길다는 것이 반드시 그만큼 더 많이 해롭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님. (많은 양에 피폭되면 해롭겠지만) 그래도 찝찝하다..ㅠㅠ

예전부터 생각해온 거지만.. 역시 일본은 반성을 모르는 국가이고, 민족인 것 같다.

자기들 살 궁리 찾느라고 다른 나라 죽든 말든.. 저렇게 뻔뻔하고 비양심적인 행동을 해놓고도 앞으로는 스미마생, 뒤로는 독도는 일본땅...을 외치는 족속들.. 아.. 정말... 우리나라 어떡하냐ㅡㅜㅠ

전범 국가, 민폐 국가, 성에 미친 민족에 반성을 모르는 민족.......
저런 일본의 참모습을 전 세계 만방에 알려야 되는데.. 우리만 알고 피해보고 있다는 사실이 진짜 슬플 뿐..ㅠ

반응형
반응형
출처: 한국일보 임귀열 칼럼 - http://news.hankooki.com/life/novel/view.php?webtype=04&uid=1257&ppage=1


Language Learning : EU Model EU의 외국어 배우기



유럽연합(EU)에서는 ‘Language Passport’라는 기준을 통해 외국어 실력을 평가한다. 흥미로운 것은 Breakthrough - Waystage - Threshold - Vantage - Effective Operational Proficiency - Mastery 식으로 6단계를 구분한 점이다. ‘왕초보 - 입문 - 초보 - 우수함 - 업무 가능함 - 마스터 수준’ 정도로 번역되겠지만 어느 단계도 기분 나쁜 명칭을 쓰지 않는다.

EU 시민의 56%는 외국어로 의사 소통을 할 줄 안다고 한다. 50% 이상은 적어도 1, 2개 외국어를 할 줄 아는데 해마다 그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자국어를 포함해 최소 2, 3개 언어는 하는 셈이다(multi-lingualism). 그들의 28%는 또 외국어를 열심히 공부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제 신문에 ‘유럽은 외국어 공부 중’이라는 기사가 나올 법하다. 유럽인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언어는 영어(68%), 프랑스어(25%), 독일어(22%), 스페인어(16%) 등이다. 또 유럽인의 61%는 학교의 다양한 언어 교육을 반기고 있으며 특히 몰타, 핀란드, 룩셈부르크는 다른 국가에 비해 외국어 교육에 더 적극적이다.

유럽인은 늦어도 고교 시절에는 외국어 공부를 시작하지만 초등 과정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더 많다. 유럽인이 외국어는 6~12세에 배우기 시작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서 일까, 그 방법과 집중도가 한국의 조기 영어 교육에 비할 바 아니다. 독일, 프랑스, 벨기에와 인접한 룩셈부르크에서는 초등과정에서 영어 교육을 시작하는 비율이 98%나 되고 스웨덴은 2% 정도다.

베네룩스 사람의 TOEFL 성적이 세계 최고이고 대부분의 사람이 영어를 할 줄 아는 이유가 따로 있는 것이다. 유럽인의 4%는 유치원 때부터 외국어를 배우는데 특히 룩셈부르크, 몰타, 스페인에서 적극적이다. 유럽인의 39%는 외국어 교육이 빠를수록 좋다고 생각하고 있다.

어떤 외국어를 교육하느냐는 지정학, 역사, 문화, 사회적 요인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발트해 연안국에서는 러시아어, 몰타에서는 이탈리아어, 핀란드의 3분의 1은 스웨덴어 교육에 열심이다. 그러나 EU의 외국어 배우기에서도 공통된 점이 하나 있다.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영어 배우기가 어린이 사이에서 압도적 지지(85%)를 받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외국어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어린 아이들이 영어 배우기에 열심이라는 것은 부모들이 EU의 미래 언어로 영어를 예견했기 때문이다. 어린이들은 벌써 EU English를 위해 단어를 몇 개나 알아야 하느냐며 질문한다. 그러나 영어 교육에 성공한 베네룩스 3국에서 자국민 영어 교사가 영어로 수업을 한다는 점이 가장 부럽다.

이들 가운데 원어민 만큼 영어를 잘하는 자국민 교사는 있어도, 한국의 영어마을 같은 전시성 시설은 없으며 그러니 국력을 낭비하지도 않는다. 실용적 자세와 현실적 안목, 교사들의 자질이 만들어내는 영어 성공 모델이다.


입력시간 : 2007/05/28 19:17
반응형
반응형
출처는 한국일보의 임귀열 칼럼 - http://news.hankooki.com/life/novel/view.php?webtype=04&ppage=1&uid=1259


Health Literacy, Medial Jargon(의료계 표현)


유럽연합(EU)이 탄생한 뒤 유럽인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그 보기 가운데 하나가 환자들의 이동. A국가에서 치료하고 B국가에서 숙박하는 식이다. 그런데 이 때문에 유럽의 의사들은 어려움이 많다고 한다.

자신들이 의대에서 배운 용어를 다국적 환자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란다. Sweden이나 Netherlands처럼 영어 교재로 의학을 배우는 나라가 있고 Belgium, Greece, Italy, Spain, Germany처럼 영어 교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나라도 있기 때문이다. 유럽에는 영어를 할 줄 아는 의사도 있고 거의 못하는 의사도 있다.

세계 어디서든 진료를 받거나 약품 처방전을 보면 외계어 같은 용어 때문에 따돌림 받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환자가 알지 못하게 전문용어를 사용한 것인데 이는 세계적 현상이다.

사실 의사들이 배운 전문 어휘는 대부분 그리스어(Greek)를 기반으로 한다. 영어 어휘는 라틴어(28%), 프랑스어(28%), 중세기 영어와 Dutch(25%), 그리스어(5%), 고유명사(3%), 어원 없는 어휘(4%)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5% 정도의 그리스어계 어휘가 의학계에서는 유독 힘을 발휘하고 있다.

의료 용어 가운데 두문자어(acronyms), 완곡어(euphemisms), 줄임말(Initiatory), 욕(derogatory words) 등이 특히 문제다. 한국의 의사가 환자(Patient)를 줄여서 Pt, 치료(Treatment)를 Tx, 수술(Operation)을 Op, 합병증(Complications)를 Cx, 주사(Injection)를 Inj 등으로 표기하는 것은, 단어의 첫 부분만 따왔기 때문에 그래도 이해가 된다.

병원 중환자실에 ICU(Intensive Care Unit)라고 써 놓은 것도 일반화한 용어 즉 두문자어다. 좋게 말하면 의료계의 ‘직업적 전문 용어’(jargon)이고 일반적으로 보면 ‘은어’(slang)이다. Webster사전은 jargon을 (1)confused, unintelligible language (2)the technical terminology or idiom of a special activity or a group라고 정의했다.

특정 분야의 표현이기 때문에 외부인에게는 난해하고 어렵고 모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처방을 해 주었는데 환자가 ‘adverse reaction’을 보였을 때 이 말은 곧 ‘drug is okay, the patient was wrong’의 의미를 지닌다.

13세기에 Arnold라는 의사는 동료에게 환자의 병을 설명하기 어렵다면 되도록 어려운 말을 사용하라고 권했다고 한다. 환자가 알아듣지 못하는 게 차라리 편하기 때문이다.

간에 이상이 있으면 “Say that he has an obstruction of the liver”라고 말하라고 한 것인데 ‘간의 장애’가 무엇인지 불분명하다.

의사 Michael Crichton은 이런 용어 사용에는 전염성이 있어 한 두 명의 의사가 반대하거나 순화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법조계보다 더 Jargon이 많은 의료계, 환자를 위해 Plain English가 절실하다.

입력시간 : 2007/05/30 21:31:27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