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2장 자음의 발음(The Pronunciation of Consonants)


■ 자음의 분류


A. 성대 진동의 유무에 따라

  유성(有聲, voiced)     - b, d, g, v, ð, z, ʒ, ʤ

  무성(無聲, voiceless)  - p, t, k, f, θ, s, ʃ, ʧ

  cf) 유음(流音, liquid)   - m, n, ŋ, l, r

     반모음(半母音, semi-vowel)- j, w, (h)


B. 조음위치(調音位置, position of articulation)에 따라

 1. 양순음(bilabial)- p, b, m, w

 2. 순치음(labio-dental)- f, v

 3. 설치음(apico-dental)- θ, ð

 4. 설단치경음(apico-alveolar)- t, d, s, z, n, l, r

 5. 전설치경경구개음(front-alveopalatal)- ʃ, ʒ, ʧ, ʤ

 6. 전설경구개음(front-palatal)- j

 7. 후설연구개음(dorsal-velar)- k, g, ŋ, w

 8. 성문음(glottal)- h


C. 조음방법(調音方法, manner of articulation)

 1. 파열음(패쇄음, stop/plosive): p, b, t, d, k, g

    공기의 흐름을 일단 완전히 패쇄했다가 한꺼번에 터뜨려 내 보낼 때 생기는 소리.

 2. 마찰음(fricative): f, v, θ, ð, s, z, ʃ, ʒ, h

    소리를 만드는 부분이 서로 근접하여 생긴 좁은 틈 사이로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마찰을 일으키는 소리.

 3. 파찰음(affricate): ʧ, ʤ, (dz, tr, dr) 파열음이 마찰음으로 변할 때 생기는 소리.

 4. 비음(nasal): m, n, ŋ - 폐쇄음의 일종임.

    구강의 통로를 어느 위치에서 폐쇄시킨 상태에서 연구개를 내려 연구개가 인두강 벽에서 떨어짐으로써 후두를 떠난 공기가 비강을 통하여 콧구멍으로 나가면서 생기는 소리.

 5. 측음(lateral): l

    혀의 한 쪽이나 양쪽을 낮추어 발음할 때 공기가 입의 중간에서 차단되고 혀의 옆으로 빠져나가는 소리.

 6. 비마찰지속음: r

 7. 활음, 전이음 - 반모음성 자음(semi-vowel): j, w

    i, u 의 조음위치에서 출발은 하지만, 그 위치에는 조금도 머물지 않고 뒤따르는 모음의 조음위치로 곧 옮겨간다. 구강 내의 공기가 방해를 받지 않으며 조음되는 소리.



1. 파열음(stop/plosive)


 /p/ 와 /b/ - 입의 모양은 동일. 성대를 울리느냐 울리지 않느냐가 차이


 /p/  

어두: 입에서 입김이 나가지 않도록 윗 입술과 아랫 입술을 다문 다음 성대를 울리지 않고 입안으로 들어온 공기를 파열시킴. 

어미: 입술을 다물고 소리를 내지 않는 듯 마무리 한다.


ex) pin, person, point, pill, play

     apple, spray, space, sports

     drop, help, cheap, lip, heep, cup, deep, shop


 /b/ 공기의 힘이 보다 약하고 성대가 진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p/와 발음이 같음.


ex) bin, big, before, baby, bank, best

     able, noble, ribbon, abstract

     club, job, verb, sob


 /t/ 와 /d/


 /t/

혀끝을 윗니의 윗몸에 위치시킨 다음 입김을 멈춘다.

혀를 성급히 떼어 냄과 동시에 입김을 바깥으로 파열시킨다.

 

  ex)tin, try, task

      story, past, button

      cattle, stamp, water, center, last, about


 /d/

공기의 힘이 약하고 성대가 진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t/와 발음이 동일.

ex) din, drink, different, dog, date, dry, dance

     seldom, leader, admit, idea

     bid, mad, old, good


2. 설탄음 /t/, /d/ (flap sound)

 /t/가 유성음 사이에 오고 뒤에 강세 모음이 오지 않는 경우 혀끝이 윗니의 잇몸을 재빨리 치고 빠지기 때문에 입김이 파열되지 않는다.  이 때 설탄음 /t/는 유성음이 된다.

ex) water, battery, daughter, set it, put on, let on


/t/가 모음 사이에 오거나 음절자음 사이에 오면 더욱 약화된 설탄음이 된다.

ex) battle, cattle, bottle, settle


/t/가 모음사이에 왔더라도 attack, retain, retake 처럼 강세모음을 끼고 있을 때는 설탄음이 되지 않는다.


/k/ 와 /g/


/k/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닿도록 위치시켜 숨공기의 통로를 막고나서 이렇게 폐쇄가 이루어진 후에 접촉된 혀를 떼면서 입김을 강하게 내뿜으면 무성음 /k/가 된다.

ex) come(우리말 ㅋ) sick(우리말 ㄱ) skate(우리말 ㄲ)

      keep, come, kind, cry, sky, skate, skip, skill, back, dark, milk


 /g/

/k/와 동일 , /k/ 보다는 공기의 힘이 약하고 성대를 울려서 발음함

  ex) gum, bag, girl, again, gift, go, dog, glad, glass


3. 마찰음

/f/, /v/


/f/

윗니를 아랫 입술 안쪽에 가볍게 대고 입김을 입 밖으로 불어 내면서 성대가 울리지 않게 마찰시켜 발음한다.

ex) fine, self, enough, fall, coffee, phone, photo, philippine


/v/

/f/와 동일, 성대가 울리도록 발음, 윗니와 아랫 입술 사이에서 충분한 마찰이 일어나도록 한다.

ex) vine, visit, give, vitamin, have, ever, believe,


Practice (/v/ 와 /b/의 구별)

ex) vest, best, vote, boat, vowel, bowel


/θ/, /ð/ (more difficult)-우리말 발음체계에 없음.


/θ/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혀끝을 가볍게 대고 입김을 내면서 성대가 울리지 않게 한다.

ex) think, something, theory, thousand, death, south, thrill thigh


Practice (/θ/ 와 /t/의 구별)

ex) thin, tin, thank, tank, ether, eater, heath, heat, both, boat


/ð/

/θ/과 동일, 유성

ex) this, smooth, clothe, gather, breathe, they(day와 구별)


Practice 1 (/ð/ 와 /z/의 구별)

ex) writhing, rising, breathe, breeze, clothed, closed


Practice 2 (/ð/ 와 /d/의 구별)

ex) there, dare     other    udder     breathe    breed


 /s/, /z/


 /s/

   윗니와 아랫니를 조금 벌리고 혀끝을 윗니 바로 뒤에 위치시킨 다음 혀의 양    측면을 윗니의 좌,우에 밀착시켜 바람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 후 혀 가운데     조금 생긴 홈으로 공기를 분출시켜 발음한다. (우리말의 ㅅ보다 강하다.  뱀이    내는 소리 공기가 빠져나가는 소리와 비슷)

 

  ex) seal, supermarket(ㅆ), small, place, city, famous, ask, possible


   Practice (/θ/ 와 /s/의 구별)

   thick  sick   thought  sort   ethics  Essex   mouth  mouse


 /z/

  혀끝을 아랫니 뒤에 위치시키고 성대가 진동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s/와 발음    방법이 유사하다.

  ex) zeal, easy, lazy, zero, crazy, rose, nose



 /ʃ/, /ʒ/


 /ʃ/

 우리말 /쉬/. 입술을 둥글게 앞으로 내면서 혀끝을 아랫니 잇몸에 대고 혀 앞 부   분을 윗니 잇몸 뒤쪽(경구개) 가까이 대는 듯한 상태에서 발음한다. (붙이지 않   는다)

 

  ex) sheep, shirt, pressure, confession, essential, machine, wish,


  Practice (/ʃ/ 와 /ʧ/의 구별)

  shoes    choose     washing    watching     dish    ditch


 /ʒ/

 혀의 앞 부분을 둥글게 하여 윗니의 잇몸 뒤쪽에 가까이 가져간다. 

 입술을 약간 둥글게 하고, 혀와 윗니의 잇몸 뒷쪽 사이를 통해 입김을 불어내어   성대가 울리도록 발음한다.

 (이 음은 어두에는 나오지 않으며 어미에 나오는 몇 개의 단어를 제외하면 대개    단어의 가운데에 위치해 있다.)

  ex) usual, measure, vision, casual, pleasure, decision, message


  Practice (/ʒ/ 와 /ʤ/의 구별)

  leisure     ledger       vision     pigeon


 /h/

 입을 벌리고 혀가 어떤 접촉도 하지 않는 상태에서 공기를 밖으로 불어낸다.(입   술과 혀는 /h/ 다음에 오는 모음을 발음하기 위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ex) behind, hot, heat, heart, human, who, boyhood


* 파찰음

 /ʧ/, /ʤ/


/ʧ/

우리말의 [취]와 유사

 혀를 윗니의 잇몸(tooth ridge)에 댐으로써 입김의 유출을 막았다가 갑자기 떼면   서 발음. /t/를 시작할 때와 같은 위치에 혀끝을 대고 /ʃ/의 위치로 이동하면서    발음한다. 무성음이며 경음이다.

 

  ex) chain, chest, catch, church, nature, change, future, teacher


  Practice 1 (/ʧ/ 와 /tr/의 비교)

  cheese trees,  chap trap,  chain train


 /ʤ/

우리말의 [쥐]와 유사. /ʧ/와 동일, 유성음(연음)

  ex) Jane, just, orange, joke, journey, fragile, age, generation, religion,               tragedy, page


  Practice  (/ʤ/ 와 /dr/의 비교)

  Jane drain,  Jew drew,  jug drug


* 비음


/m/

양순비음(bilabial nasal). 우리나라의 ‘ㅁ’과 매우 비슷. 두 입술을 가볍게 다물고 연구개를 내려 공기가 코를 나가도록 발음한다. (콧노래 하는 방식과 같다)

/m/의 조음방법은 /p/, /b/와 비슷


moon, map, demon among, summer, sum, calm, warm



/n/

치경비음(alveolar nasal). 연구개를 내리고 혀끝을 윗니의 잇몸에 붙이면서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를 완전히 폐쇄했다가 코를 통해 발음한다. 이때 혀끝의 위치는 /d/, /t/, /l/ 의 경우와 동일하다.


never, night, many, manner, dinner sun, napkin, again, snap, snake, snow



/ŋ/

혀의 뒷 부분이 연구개에 닿도록 하여 허파에서 올라오는 공기를 차단한 다음 코를 통해 발음한다.

우리 말의 ‘ㅇ’ 과 유사. /k/, /g/를 발음할 때와 유사.


ink, think, sung, young, singing, finger, king, nothing


*설측음, 비마찰 지속음


/l/


가. 맑은(clear) /l/ - /l/ 다음에 모음이 오는 경우.

              혀 끝을 윗니의 잇몸에 밀착시켜 공기가 혀의 좌,우로 빠져나가                게 하며 발음


    blue, black, light, love, long, leave, fly, blind


나. 흐린(dark) /l/ - /l/ 다음에 자음이 오거나 /l/이 어미에 오는 경우.

              혀 끝이 윗니의 잇몸에 가볍게 닿거나( 혀에 힘을 뺀 경우) 닿으                려는 순간에 발음한다. (맑은 /l/ 보다 혀의 뒷 부분이 더 올라간                다.)


    help, heel, pool, film, all, girl, smile, fall


   Practice 연결음 발음하기

   feel     feel it,       all     all over,       will     will you



/r/

혀 끝을 입천장(경구개의 앞부분) 쪽으로 구부려 올리되 입천장에는 조금도 닿지 않게 하고 혀의 한 가운데가 들어가도록 입 모양을 약간 둥글게 하여 발음한다.


right, car, rain, report, record, radio, mirror, free, wrong, Korea, rice



Practice 1 연결음 발음하기


far off   here and there   poor old man   there are two   father and mother


Practice 2 (/r/ 과 /l/ 구별하기)


right light,  pilot pirate,   pray play,   fly fry,   bright blight,   clash crash



/rl/

혀를 구부려 /r/을 발음한 후 /l/ 발음으로 연결시켜 발화한다.


girl, world, curl, pearl, Carl, squirrel


*반모음성 자음


/w/

/u/ 보다 더 꽉 조여 입술을 둥글게 하고 앞으로 더 내 밀어야 한다. 따라서 입술이 만드는 원은 /u/보다 더 작게 된다. 혀는 연구개 쪽으로 잡아 올린다. 그러나 입천장에는 닿지 않게 한다. /u/의 조음위치에 순간 머물렀다가 다음의 모음의 위치로 순식간 옮겨간다.


wet, wood, question, well, wait, wine, world, sweep, twice



/j/

입 은 약간 벌리고 입술은 약간 오므려 주며 혀의 중간 부분이 경구개에 닿도록 한다. 즉, 혀의 앞부분을 경구개의 앞부분에 가까이 대고 혀의 좌,우를 윗 어금니와 작은 어금니에 밀착시켰다가 다른 모음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발음되는 소리 /i:/ 음과 거의 유사.

쉽게 말하자면, 우리 말의 야(이+아), 여(이+어), 요(이+오) 등에서 첫음 ‘이’ 와 같은 것.


yes, yard, yield, year, youth, yellow, unit, huge, human, music, view


Practice (/j/의 무성화)

pure, tune, cure, huge, accuse, pew, new


* 자음동화

어떤 자음이 인접한 다른 자음의 영향으로 그 음과 비슷해 지거나 같아지는 현상


ten boys /m/,  ten girls /ŋ/,  good boy /b/,  this shop /ʃ/,  those shops /ʒ/,

Won't you? /ʧ/,  Could you? /ʤ/,  this year /ʃ/,  it was your fault /ʒ/,

that cat /k/,  I have to go /f/



반응형
반응형

Basic Pronunciation


제 1 장 모음의 발음(The Pronunciation of Vowels)


■ 모음 발음의 주요 요소


1) 입술의 모양에 따라 모음이 달라진다.

   원순모음: /o/ /u/ 둥글게. 평순모음: /i:/ /i/ 옆으로 퍼지게.


2) 혀의 위치에 따라 모음이 달라진다.

  ① 혀의 앞, 뒤 위치에 따라: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이 구개의 어느 부분에 인접했는가에 따라

     전설(前舌)모음, 중설(中設)모음, 후설(後舌)모음


    - 주로 혀의 움직임에 따라 음가가 결정되는 전설모음(i:, i, e, ?)은 모두 평순(unrounded)으로 발음되는  것이 특징이고, 혀의 전면과 뒷면의 중간적 조음에 의해 생기는 중설모음은 혀의 중간부분을 들어 올려 발음            하는 음이다. 후설모음은 중설모음과 마찬가지로 입술의 모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로서, 이 음은 모두 혀의 뒷면이 높다.

   

  ② 혀의 높이에 따라: 혀의 높이란 주어진 모음을 발음할 때 혀가 취하는 자세에서 가장 높은 부분의 높이를 말한다. 높은(High)모음, 중간(Mid)모음, 낮은(Low)모음



■ 모음 삼각도

 

               Front(전설)       Central(중설)    Back(후설)

 high

  i:

 

 

       i

 ?:

            u:

 u

   

mid

  ei

e

 

 ə

               ʌ

           ou

                  ɔ:

     

 

low

   æ

 

 

 а

           

            ɑ




3) 입의 크기(입 벌림의 정도): 닫힌 모음, 조금닫힌 모음, 조금열린 모음,열린 모음

  턱을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입의 크기 조절

  /i:/, /i/, /e/, /æ/     (순서대로 발음)


  턱이 낮아지고, 혀가 높은 곳으로 부터 낮은 곳으로 내려옴

  혀의 높이가 낮아 질수록 입이 크게 벌어짐


4) 긴장 모음, 이완모음(혀의 근육)



■ 장모음 5개

   /i:/ /u:/ /a:r/ /ɔ:/ /əːr/


/i:/  * 우리말의 /이/와 비슷

  입술을 옆으로 퍼지게 하고 윗니와 아랫니를 거의 맞닿을 정도로 다물어 내는 소리이다. 혀의 앞부분을 입천장을 향해 올린다. 입술은 긴장된 상태에서 평순(unrounded)을 유지한다.

 ex)  bean, eat, deed, easy, east, sheep, free, feel


/u:/  * 우리말의 /우/ (보다 강함)

  휘파람 불때 처럼 입술을 둥글게, 힘을 주어 뒷혀에서 발음. 혀를 뒷쪽에서 충분히 높여 윗니에 양측면에 닿도록 (입술을 앞으로 내밀고 좀 더 긴장)

 ex)  pool, school, food, mood, soon, blue, boon, who, zoo


/a:r/ * 우리말 /아/ (보다 입을 상당히 크게)

  입을 크게 벌리고(하품)하듯이, 입술은 둥글게 하지 않음. 혀는 중앙에서 낮춤

 ex)  barn


/ɔ:/

  입술을 약간 둥글게 /a/ 보다 더 둥글게. 우리말 ‘아’에 가깝게 입을 크게 벌린 상태에서 혀의 뒷부분과 인두부분에 힘을 주며 ‘오’를 발음한다.

 ex)  also, all, off, lost, walk, call, saw, law, thought


  최근 위 2개를 구분 않는 미국식 발음(/a/의 발음때 다시 설명)

 ex)  often, operator, lobby, Socrates, comedy,  opposite, top, god, follow


/əːr/ (비강세 모음)  * 우리말의 /어/와 비슷

  혀끝을 올려 경구개와 연구개가 맞닿는 부분까지 접근시킨다. 그렇지만 입천장에 닿지는 않는다. 혀, 입술, 그냥 중립적 위치. 혀는 낮출 수도 있다.

 ex)  burn, earth, birth, person, heard, girl, worry


* 장모음은 / p, t, k, f, θ, s, ʃʧ, h/ 와 같은 무성음으로 끝나는 음절에 있을 때는 그 길이가 꽤 축소된다. 그 점에 유의하여 다음을 연습해 보자.

 

  Practice 1

  search  feet  shoot  heart  loose  teach  purse  staff


  Practice 2 (축소된 장모음과 그렇지 않은 경우 구별)

  feed  half  saw  heard  feet  peace  lose  leash

 


* 단모음 6개

   /i/, /e/, /æ/, /ʌ/, /a/, /u/


/i/  * 우리말의 /에/에 가까움

   /i:/ 보다 혀의 위치가 낮아짐. 혀가 이완. 좀더 짧은 음. 입을 조금 벌리고 입술을 옆으로 하되 힘을 뺀다.

   (긴장유무. 턱과 목이 만나는 지점에 손가락을 대본다.) 

  - /i:/ - 팽팽한 긴장감, /i/ -긴장이 이완된 것

 ex)  tin, it, interest, ill, lip, kill, sit, pretty


/e/ * 우리말의 /애/ / 에/ 중간

  입을 반쯤 연 상태에서 혀의 앞부분을 입 중간까지 올리고 입술을 양쪽으로 당겨서 발음한다.(치아와 접촉하지 않는다) 우리말 /에/ 보다 입을 약간 더 벌림. 혀는 낮고 더 뒤에서                   

 ex)  men, dead, head, bed, enter, ever, end, every, many


/æ/

  혀, 턱을 충분히 낮춤. 될 수 있는한 입을 크게 벌리고 입술은 양옆으로 잡아당김(앞 혀에서 소리남)

 ex)  after, black, bad, cat, fat, man, happy, sat, sad, flag


   

/ʌ/(강세모음) * /아/를 발음 할 때만큼 입을 크게 벌리고 /어/를 발음. 혀끝을 중앙부에 두는 중설모음(central vowel)으로 /ə/의 발음과 유사하다.

  혀와 어금니의 접촉이 없이 턱을 약간 벌린다. 항상 강세. 짧게 발음됨.

 ex)  comma, bud, blood, butter, cut, love, son, under, husband, southern


/a/

  중설모음 중에서 가장 낮은 모음으로 혀와 어금니의 접촉없이 아래 턱을 당기고 입을 크게 열어 하품하는 느낌으로 ‘아’하며 발음한다. 이때 모든 구강기관은 긴장하지 않는다.

 ex)  follow, father, doctor, lock, top, odd, body, ox, opera, operator


/u/ * 우리말의 /우/ 보다 짧게..

  혀의 위치가 /u:/보다 낮음.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 쪽으로 올리며 입술은 둥글게 하되 힘은 주지 않는다.

 ex)  book, cook, could, full. good, look, pull, wood, wool


   * 단축된 효과의 장모음들은 어느 경우 실제로 그 길이가 짧아져서 단모음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갖게된다. 여기에 유념하여 다음을 연습을 해보자.

     feed     feet     fit

     league   leak     lick

     food     boot     foot

     card     cart      cut

     cord     caught   cot

     sword   sort      soot

     purrs    purse    purpose



* 이중모음 8개

   

두개의 모음이 연속해 있으면서 두개의 음절이 아닌 하나의 음절을 이루고 있는 모음을 이중모음이라고 한다. 이중모음에서 앞에 오는 음이 음량이 크고 강하고 길게 발음되고 뒤에 오는 음은 음량이 적고 약하고 흐리게 발음된다.


1. /ei/, /ai/, /oi/


/ei/

  /e/에 강세를 두고 /i/의 위치로 살짝 굴려 올린다. /e/를 크고 명료하게 발음하고 가볍게 /i/를 발음하는 기분으로 두음을 이어서 빨리 발음함.

 ex)  date, late, table, eight, baby, ache, ace, cake, gate, safe


     * /ei/, /e/ 를 비교하면서 다음을 발음해 보자.

       sale, sell, waist, west, saint, sent, pain, pen, late, let

   

/ai/

  입을 반쯤 열고, 입술은 둥글게 하지 않음. 혀는 중앙에 낮게 위치해 있다가 위로 올라와서 윗니에 닿게 된다. /a/는 크게 발음하고 /i/는 약하게 짧게 발음되기 때문에 /a/에서 출발하여 /i/로 향하여 가다가 사라지는 음이다.

 ex)  eye, buy, idea, ice, height, sight, nice, hide, decide


/oi/

  입을 반쯤 열고, 입술 둥글게, 입을 점차 다물 듯 하면서 입술을 밝게 미소짓는 모양으로 만든다. 혀는 낮은 위치에 올라와서 윗니에 닿게 한다. /o/에서 출발하여 /i/로 가는 도중 사라지는 소리이다.

 ex)  enjoy, void, destroy, voice, choice


2. /au/, /ou/

/au/

  입을 반쯤 벌리고 혀는 낮게 뒤로 뺌. 그후 입술을 둥글게 /a/는 강하게 하고 혀는 /u/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a/에서 출발하여 /u/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사라지는 소리이다.

     our, house, out, blouse, doubt, crowd, brown, cow


/ou/

  입을 반쯤 벌리고 입술은 둥글게 한 다음 혀가 좀더 뒤와 위로 미끄러지게 하면서 둥글어진 입술을 조인다. /o/에서 힘을 주어 발음한 다음 /u/는 약하게 재빨리 발음한다. * 우리말 /오우/ 처럼 붙여서

 ex)  low, old, open, only, coat, boat, hope, gold, home, go, tone


     * Practice 1 ( /ou/ 와 /əːr/ 의 비교) : own, earn, coat, curt, foam, firm


     * Practice 2 ( /ou/ 와 의 비교)

       so, saw, load, lord, boat, bought


     3. /iər/, /εər/, /uər/


     Practice 1

     beer  bare,  mere mayor,  fear fair,  dear dare


     Practice 2

     near, poor pear, fierce, vary, hero, scarce, jury, pierce,

     there, theory, Europe, pure, idea, mayor, beer


     4. /ai, au/ + /ər/의 연속음


     Practice 1

     tyre, tower, tar, fire, far, shire, shower, diary, dowry


반응형
반응형


 1.유성음(Voiced)과 무성음(Voiceless)                              
                     
 
손을 성대에 대고 발음했을 때 성대가 울리는 것은 유성음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무성음이다.
 모음은 모두 유성음이지만 자음은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뉜다.

영어 자음 체계표(English Consonant Chart)

자음을 발음하는 위치와 방법을 나타낸 영어 자음 체계표(English Consonant Chart)




 2. 폐쇄음(stop/plosive)과 지속음(continuant)

 
 (1) 폐쇄음(파열음)이란 혀,이,입,입천장등을 통해 입김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완전히 막은 다음 갑자기 터뜨려서(파열시켜서) 내는 음을 말한다. /p/, /b/, /t/, /d/, /k/, /g/가 있다.

  (2) 지속음이란 입김을 부분적으로만 차단함으로써 내는 음으로 자세히 구분하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비음(nasal) : 코를 통해 소리를 내는 음으로 /m/, /n/, /ŋ/이 있다.

  ② 측음(lateral) : 혀의 두 측음을 통해 소리를 내는 음으로 /l/이 있다.

  ③ 마찰음(fricative) : 입김이 입 안의협소한 장소를 통과할 때 생기는 마찰을 통해 나는 음으로
    /f/, /v/, /
θ/, /ð/, /s/, /z/, /ʃ/, /ʒ/, /h/가 있다.

  ④ 파찰음(affricative) : 파열음이 마찰음으로 바뀔 때 생기는 음으로써 /ʧ/, /dʒ/ 가 있다

  ⑤ 반 모음 :소리를 내는 입정한 장소가 없는 음으로 /j/, /w/, /r/이 있다.


(3)
조음 기관

 

   1.  /p / 와  / b /
   
두 음을 발음할 때 입의 모양은 동일하다. 차이점은 성대를 울리느냐 울리지 않느냐에 있다.

/ p /의 발음        
/ p /가 어두에 왔을 때는 입술에서 입김이 나가지 않도록
입을 다문 다음 성대를 울리지 않고 입김을 퍄열시켜 주면 된다.어미에 왔을 때는 입술을 다물고 소리를 내지 않는다. 이 경우 우리말의 '밥'을 발음 할 때의 받침 'ㅂ'과 비숫하다. ex. pine / pipe , tap / clip /

/b /의 발음        
/ p/와 동일하나 성대를 울리면서 파열시킨다. 우리말의 'ㅂ'은 '가방'이나 '선반'처럼 모음 사이나 유성음 뒤에 올 때만 유성음으로 발음되고 그 밖의 경우는 무성음이므로 유성음인 영어의 / b /와는차이가 있다
 ex. bag  / bread,   crib  / sold

   2. / t / 와 / d /

  혀끝의 윗니의 윗몸에 위치시킨다음 입김을 멈춘다. 이 혀를 떠어냄과  동시에 입김을 바깥으로 내면 무성음 / t /가 된다. / t /는 무성음이고 / d / 는 성대를 울리는 유성음이다
  ex. time / town     ,  dime  / down

   영어의 /t /와 우리말의 'ㄷ' 'ㅌ'  ,  /d/와 /ㄷ/의 비교

  우리말의 'ㄷ' 'ㅌ'은 치음(dental)으로 혀끝을 윗니의 뒷면에 붙인 상태에서 발음하지만 영어의 /d/ ,/t/
   치경음(alveolar)으로 혀끝을  
윗니의 윗몸에 대고 발음해야 한다.

** 설탄음 /t/  , /d/ (舌彈音 : Flap Sound) :'water'나 ' ladder'처럼 't'와 'd'가 모음 사이에 오고 뒤에 있는
    모음에 강세가 없을 때는  /r/과 유사한 발음난다.   ex. battery , water, meddle,   ladder

   3.   / k / 와 / g / 
 
/k/는 한국어의 'ㅋ'와 유사한 발음이며 'notebook'의 경우처럼  어미에 왔을 때는 '노트부크'와 같이
  '크'를 발음하지 않고 'ㄱ'으로  하여 '노욷북'처럼 발음해야한다./g/ 발음시 유의해야 할 점은 gum을  '껌'
  , game을 '께임'으로 발음하지 말고 '검' , '게임'으로 발음해야 한다. 즉 경음화를 시키면 안된다.

 / k /의 발음법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닿도록 위치시켜 숨공기의 통로를 막고 접촉 된 혀를 떼면서 입김을 강하게 내뿜으면 무성음 / k /가 된다. sick처럼 어미에 온 경우는 우리말 'ㄱ'과 비슷하고 'king'처럼 액센트가 있는 모음 앞에 왔을 때는 한국어의 'ㅋ'와 유사한 음이 된다. ex. Keep your camera in the  case.      

/ g / 의 발음법
/g/의 발음법은 /k/와 동일하지만 성대를 울려서 발음하는 유성음이다.
/g/는 유성음이지만 우리말의 'ㄱ'은 무성음이므로'마감', '농가'의 경우처럼 'ㄱ'이 모음과 모음 사이나 유성음 뒤에 와서 유성음이 되었을 때에만 /g/와 유사하게 된다.

4. / f / 와 / v / 
 
/f/ 와 /v/는 우리말에 없는 발음이므로 정확한 발음법을 익혀서발음해야한다. 주의할 점은 윗입술과 아랫  입술이 닿아서는 안되며 단어의 끝에 /f/ 나 /v/음이 올 때는 입김이 다 내뿜어졌을 때까지 입을 벌려서도   안된다. 입을 너무 빨리 벌리면 give의 경우 /giv/가 아닌 /giv /로 발음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윗니를 아랫입술 안쪽에 대고 입김을 밖으로불어내면서 발음한다
  / f/는 무성음이고  / v /는 유성음이다.

 <발음 비교>    
few / view  ,  belief / believe ,   face / vace                         

   5. / s / 와  / z / 
     
/s/우리말의 /ㅅ/과 비슷하게 발음하는 사람이 있는데   영어의 /s/는  /ㅅ/ 보다 더 강한  마찰음이다.

  윗니와 아랫니를 조금 벌리고 혀끝을 윗니 바로 뒤쪽에위치시킨 다음  입김을 불어낸다.
   'supermarket'(쑤퍼마켓)처럼 /s/가
강세가 있는 모음 앞에 왔을 때는 우리말의 /ㅆ/과 동일한 음을 내지만 'small'(스몰)이나 'place'(플레 이스)처럼 /s/가 자음 앞이나 어미에 왔을 때는 /ㅅ/으로 발음된다.
    / s /는 무성음  ,/ z /는 유성음이다.  
 ex. say  , pencil, easy, zero

     <발음 비교>
     i
ce / eyes       prise  / prize       rice / rise

    6.  ʃ  /  와 / ʒ /

  / ʃ /는 한국어 /쉬/와 가장 가까운 음이다. 혀의 앞부분을 윗니 잇몸 뒤쪽에 가까이 위치시켜 발음한다.


 /
 ʃ /는 무성음이며 / ʒ /는 유성음이다.

  ex. impression    finish    garage    usual   

    7.  /t ʃ / 와  / dʒ /  우리말의 /취/ , /쥐/와 비슷한 발음이다

    혀의 윗니를 잇몸(tooth ridege)에 댐으로써 입김의 유출을 막았다가 갑자기 때면서 발음한다. / t / 발음을 시작할 때와 같은 위치(윗니의 잇몸)에 혀끝을 댄 다음 /ʃ/의 위치로 이동하면서(혀의 앞부분을 윗니의 잇몸 뒤쪽에 위치시킴) 입김을 내보낸다.

 ʧ /는 무성음이고 / dʒ /는 유성음이다.

  ex. church        teach     judge        bridge

     8.  θ / 와 / dʒ /

  우리말에 없는 발음이다.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혀끝을  가볍게 대고  입김을 불어 낸다. θ /는 무성음이고  / ð /는 유성음이다.

  ex. thumb,  thigh , thin ,  this, they
 

<발음 비교1> thigh / thy   , cloth /  clothe,   bath  / bathe
<발음비교2>  think / sink  ,   thought / sought
   /
 θ /, / ð /,  / s /와  / z /를 구별하지 않으면  의미상 차이를 가져오므로 주의해야 한다. 

     10.  / n /의 발음법    

  치경 비음(alveolar nasal)으로 혀끝을 윗니의 잇몸에 붙이고 코를 통해 발음한다. 이 때 혀끝의 위치는  / t / ,  / d / , / l / 과 동일하다. 한글의 /ㄴ/ 매우 유사한 발음이지만, /ㄴ/ 의 경우에는 혀끝을 윗니 바로 뒤에 붙혀서 발음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ex.  
noon ,    narrow ,    know ,    man  

    11.   / ŋ /의 발음법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닿도록 하여 코를 통해 발음한다. (비음)   / ŋ /이 어미에 올 때는 / g /를 첨가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즉 bang은  / 뱅 /으로 발음해야지  /뱅그/로 하면 안된다. 한글/ 상 /에서 받침 /ㅇ/ 과 매우 유사한 발음이지만 더 분명하고 강하게 발음해야 한다.

  ex.  king      ring      long      strong  

     12.   / h /  

  입을 벌리고 혀가 어떤 접촉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를 밖으로 불어낸다. 입술과 혀는 / h /다음에 오는 모음을 발음하기 위한 형태를 취하게 된다. 

    13.   clear / l /   

  l 다음에 모음이 오는 경우로서 혀끝을 윗니의 잇몸에 밀착시켜 발음한다.  / t /와  / d /를 발음할 때의 위치와 동일하다. 그러나 / t /와  / d /의 경우보다 혀에 힘을 강하게 주어서 혀의 양쪽으로 소리를 내보낸다.
  ex. blue     /부루/   (X)  /블루/ (O)  
       black    /브랙/   (X)   /블랙/ (O) 

    14.   dark / l /   

   l 다음에 자음이 오거나 l이 어미에 오는 경우로서 혀끝이 윗니의 잇몸에 가볍게 닿거나(혀에 힘을 뺀 경우) , 닿으려는 순간에 발음한다. 이때 혀의 뒷 부분은 clear l 의 경우보다 더 높이 올라간다.
  dark  l은 /엘/아니고 /에-엘/과 같이 길게 여음을 갖는다. help는 
help는 /헤엘프/, heel은 /히-일/  , pool은  /푸울/ 로  앞의 모음을 길게 빼준다.

    15.    / r /   

  혀끝을 입천장 (경구개의 앞부분)쪽으로 구부려 올리되 입천장에는 조금도 닿지 않게 하고 입모양을 약간 둥글게 하여 발음한다. 이 발음을 / l / 구별해서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의미상 차이를 가져오므로 주의해야한다. 특히 한국 사람들은 / r/ 발음을  /l /로 하므로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발음비교>
  law (법) - raw (날 것의)    , lice (이) - rice (쌀)
  light (빛) - right (오른쪽)    

    16.   / rl /        

   일단 혀를 구부려 / r /을 발음한 다음 / l / 발음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 때 유의할 점은 / r / 발음시 혀끝이 입 천장에 조금도 닿지 않도록 해야한다. 
    ex. pea
rl      squirrel     curl      girl

    17.   / w /        

  / w /는 반모음이다. wood를 발음할 때 /ud/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많은데 /wud/라고 확실히 발음해야 한다. 즉, / w /음에서 / u /음으로 빨리 넘어가며 발음해야 한다. 이때는 / u /보다 입술을 꽉 조여 둥글게하고 혀는 연구개 (맨 위의 조음 기관 그림을 참고하기 바람)쪽으로 잡아 올린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