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동 사 의  종 류

1. 1형식 문형: S + V (완전 자동사)
   * I go to church on sundays.
   * Nowadays farming doesn't pay.
    ◇ pay는 타동사로 쓰이면 지불하다, 청산하다의 뜻.
        자동사로 쓰이면 보답하다, 수지가 맞다의 뜻.
    ◇ be가 완전자동사로 쓰이면 존재하다, 있다.
    ◇ do가 완전자동사로 쓰이면 편리하다, 충분하다, 알맞다.



2. 2형식 문형: S + V + C (불완전 자동사)
  ①명사보어와 형용사보어.
    * He is a soldier.  (He = soldier)  ( S = C;  명사 보어)
    * He is gloomy.     (He ≠ gloomy)  ( S ≠ C; 형용사보어)


  ② become형 동사
    * become, grow, get, go, come, run, fall, turn 다음에 명사나 형용
     사가 오면 주격보어로 쓰여서 2형식 문장으로"∼이 되다"와 같은 불완
     전 자동사가 됨.
    * He become a composer.  (He = a composer)
    * He went mad.
    * become이 타동사로 쓰이면 "∼에 어울리다"의 뜻으로 쓰인다.
      ◇ Her new dress become her well.



  ③ remain형 동사.
    * remain, keep, lie, hold, continue 다음에 명사나 형용사가 오면 본
      래의 뜻이 없어지고 계속해서 "∼하다", "∼한 상태가 되다" 의 뜻인
      2형식 문형이 된다.
    * He remained silent.
                  poor all his life.
                  faithful to the last.



  ④지각동사(감각동사) + 형용사.
    ◇ feel, smell, sound, taste 등의 지작동사 다음에 형용사가 오면 2
       형식 문장이 된다.
    * feel ∼  : ∼처럼 느끼다.      * taste∼  : ∼하게 맛이나다.
    * smell∼  : ∼하게 냄새가나다.  * sound∼  : ∼하게 들리다.
      ◇반드시 형용사를 사용해야 한다.



  ⑤기타.
    * Helen looks happy.
    * She appears sensible.
    * The wound prove (to be) fatal.



3. 유사보어
    * S + live, die. --+
          marry.          | +  명사보어  ; 주어와 equal.
          go.               |    형용사보어; 주어의 상태 동작 설명.
          be born.       |    현재분사  ; 주어의 능동적 동작.
          stand.          |     과거분사  ; 주어의 수동적 동작.
          sit, return. --+
          → 완전자동사이나 다음에 보어가 오면 모두 2형식문장이 됨.(유사보어)


    * He died a beggar. (He died + He was a beggar)
    * The old man sat surrounded by the children.



4. 3형식 문형: S + V + O (완전타동사)
    * S + 완전타동사         --+
             타동사구               | + 명사, 대명사, 부정사, 동명사,
             자동사 + 전치사  --+   동족목족어, 재귀대명사 (S ≠ O)
    * God made man.           (God ≠ man)    ; 3형식.
    * He will make a scholar. (He = a scholar); 2형식.



5. 동족목적어: 자동사가 같은 어원의 명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으며, 같
   은 어원의 목적어를 동족목적어라 함.
    * He lived a happy life (3) → He lived happily. (1)
    ◇최상급 다음에 오는 동족목적어는 생략함.
      * She smiled her brightest (smile).
      * He shouted his loudest (shout).



6. 4형식 문형: S + V + I.O + D.O   (수여동사)
    * I gave her the book.       (4형식)
      = I gave the book to her.  (3형식)
      ◇ to  + I.O → pay, bring, hand, deny, sell, send, lend, give...
         for + I.O → buy, build, make, get, order...
         of  + I.O → ask...
         on  + I.O → play, impose, bestow, confer...
        * I paid him the money.   → I paid the money to him.
        * I will buy you a watch. → I will buy a watch for you.
        * I asked him a question. → I asked a question of him.
        * He played me a trick    → He played a trick on me.



7. 간접목적어를 문미로 보낼 수 없는 동사
   : envy, save, forgive, pardon 등......
    * I envy him his patience.  (○)
      → I envy his patience to him. (×)



8. 수여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동사
   : explain, introduce, announce, confess, describe, prove, suggest,
     propose 등...

    ◇ explain... 등은 4형식 동사로는 쓸 수 없으며 우리말의 간접목적어
       에 해당되는 부분은 'to + I.O'의 형태로 부사구와 같이 사용.
      * I will explain to you what this means.



9. 5형식 문형: S + V + O + O·C  (불완전 타동사)


    ◇ S + V + O +  명사, 대명사 : 목적어와 equal
                    형용사 : 목적어의 상태 설명
                    부정사, 현재분사 : 목적어와의 관계 능동적
                    과거분사 : 목적어와의 관계 수동적


 ① O·C가 명사 또는 대명사
    * He is a great scholar  : 2형식
      = I believe him (to be) a great scholar. : 5형식
    * I believe the author to be her  : 5형식
      = The author is believed to be she by me  : 2형식
      ◇ 주격 보어는 주격을 목적격 보어는 목적격을


 ② 목적격 보어가 형용사일 때
    * I believe him diligent.


 ③ 목적격 보어가 부정사
    * I ordered him  to go.
                     to stay in bed.
                     to take a rest.


 ④ 목적격 보어가 원형 부정사 (지각·사역동사 다음)


            지각동사                사역동사

  ◇ S +  see  --+               +- let    -+  + 목 + 원형부정사
          be hold   |               |  make |
          observe  |    또는    |  have  |
          hear       |               |  bid     |
          notice     |               +- help -+
          look at    |
          listen to -+
    * I saw the suspected man (to) enter the building.

   → [let, have, make, bid, help + 목적어] 뒤에 오는 목적격 보어는

         to do가 불가능하다.



사역동사의 제대로 된 이름은 Causative Verbs.

◎ causative verbs에는 let, have, make, bid  외에도

  get, cause, force, compel, order, encourage, enable, persuade, ask 등등의

  동사들도 모두 포함한다.

She made her son wash her car. 강제

압도적 힘의 우위에 있는 주어가 목적어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도록 강요하다

She said to her son, "Wash my car, or you shall die."

She insisted that her son wash her car. He had no choice.


이런 강제성을 나타내는 또 하나의 예문:

Sad movies always make me cry.

= Whenever I see sad movies, I always cry.


She had her son wash her car. 부탁

= She asked her son to wash her car.


She let her son wash her car. 허락

= She allowed her son to wash her car.


She got her son to wash her car. 설득

= She managed to persuade her son to wash her car.





 ⑤ 목적격 보어가 과거분사
    * I had him (to) build my house.
      = I had my house built by him.
      ◇ 목적어 + to do 의 관계는 능동


[질문] 사역동사의 목적 보어로 동사원형, 현재 분사, 과거 분사 모두를 있다고 하셨는데, 역동사의 목적 보어로 현재분사( ~ ing) 쓰는 경우가 있나요? 어떤 경우에 쓰이고 의미는 동사 원형이랑 의미 차이가 있는지, 예문도 있으면 소개해 주세요.
 
[답변] 모든 사역동사가 목적보어로 현재분사(V-ing)형을 취하는 것은 아닙니다.  Have 동사의 경우에만 목적 보어로 ~ing 형태의 현재 분사를 있습니다. 그리고 ~ing 형태를 쓰게 되면, 진행상에 있는 동작이나 반복적인 나타냅니다. 지각 동사의 목적 보어로 ~ing 형태를 때도 같은 의미가 됩니다.
  
사역동사라는 것이 '어떤 행동을 하게끔 시키는 것을 뜻하는 동사'로서 have, let, make, get 등이 있습니다. 쓰임의 차이부터 보면
 
1) let: ~하도록 허락하다/ 내버려두다 의미로 쓰임
The teacher let the students go home early.
 
2) have: (권위에 의해) ~하게 하다 -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권위관계에 있을 (사업자와 고객, 채무자와 채권자, 고용인과 고용주 )
We had Ray mow the lawn.
I had the barber trim my hair.
He had a stranger on the street give him directions. (???)
 **길거리 낯선 사람에게 총칼로 위협해서 길안내 하도록 하지 않은 어색한 문장**
 
그런데 여기서 주의해야 것은 have 라는 사역동사는 목적보어로 현재분사가 있지만 원형부정사와 의미가 같은 것은 아닙니다. 이것은 지각동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The teacher had the students drawing trees yesterday.
 
<참고> 원형부정사와 현재분사의 차이점은 원형부정사가 완성된 어떤 행동이나 사건을 나타내는 반면에 현재분사는 진행상에 있고 반복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Look! I see him leaving the building. (o.k.)
Look! I see him leave the building. (???)
We observe them eating dinner at the hotel. (o.k.)
We observe them sit down. (???)
 
The boss had me turn off the light a month ago. (o.k.)
The boss had me turning off the light a month ago. (???)
The boss had me turning off the light as part of my daily routine.(o.k.)
 
상사가 나에게 한달전에 불을 끄라고 했다의 경우에는 번째 문장으로 쓰면 어색합니다. 왜냐하면 현재분사로 turning off 라고 하면 진행상에 있는 반복되는 일을 의미하기 때문에 번째처럼 매일매일의 일로서 나에게 불을 끄라고 했다는 맞지만 일시적으로 한달 전에 불을 끄도록 시켰다라고 할때는 원형부정사를 써서 번째 문장처럼 나타내야 합니다.
 
또한 목적보어로 have 사역동사가 ~ing 형태의 목적 보어를 가질 때에는 동사원형을 쓴 경우에 비해 '원치 않는 결과를 야기'했다는 느낌이 전달됩니다.
 
I won't have him speaking in that way.
The film soon had us crying.
The guy'll have it working in no time.
 
3) make: 강요에 의해서 ~하게 시키다 (권위관계에 의해서가 아닌)
He made a stranger on the street give him five dollars. (위협 해서)
He made a stranger on the street giving him five dollars. (???)
**make 목적보어로 현재분사가 없습니다. 또한 과거분사로 수동의 의미를 표현할 수도 없습니다.**
I finally had the lawn mowed. (o.k.)
I finally got the lawn mowed. (o.k.)
I finally made the lawn mowed. (???)
 
4) get : 어려움이 수반되면서 ~하게 하다
I got Ray to give me five dollars.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설득등으로)



남의 손을 빌려서 하는 일들의 경우!

She had the barber/the hairdresser cut her hair. (She had her hair cut.)
그녀는 그 이발사/그 미용사에게 머리를 잘랐다. (그녀는 머리를 잘랐다)

The hairdresser cut my hair.

그녀는 혈압을 재었다.
She had a blood pressure taken. (병원에서)
She took a blood pressure. (집에서)
그는 밀려났다/잘렸다.(해고 됐다. )
He (The boss) got me sacked. (I was fired/sacked. Or I got the push/the ax/the sack. /I got axed)

*sack : push down the quarterback in the sport of football./tell someone they can no longer work at their job( 풋볼에선 쿼터백이 밀려 넘어지면 게임에서 지나보죠?^^)

그녀는 논문을 출판했습니다.
She had her thesis(주로 석박사논문)/paper/article published




[질문] 지각 동사의 목적 보어로는 동사 원형을 쓴다고 알고 있는데, 과거 분사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과거 분사를 쓰게 되나요?
 
[답변] 지각동사 뒤에는 목적어 다음에 목적어가 하는 역할의 의미에 따라 동사원형 (혹은 현재분사), 그리고 과거분사가 있습니다.
 
지각동사 + 목적어 + 목적 보어 구문에서
목적어와 목적보어 관계가 능동 관계이면 목적 보어로 동사 원형을
목적어와 목적보어 관계가 수동 관계이면 목적 보어로 과거 분사를 쓰게 됩니다.
 
그러면 지각동사 + 목적어 다음에 오는 구문이동사 원형(현재분사)’, ‘과거분사형태로 달라지는 것일까요?
 
우선은 지각동사 다음에 오는 목적어 + 동사원형/과거 분사구문이 목적어 + 목적 보어 주어와 술어 관계 것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목적어 + 목적 보어 부분은 문장 전체의 주어와 술어 부분처럼 능동/수동 관계를 충족시켜야 올바른 문장이 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죠.
 
앞의 문장을 보면,
 
Studying in the library, I heard her call my name loudly from a distance.
Studying in the library, I heard my name called loudly (by her) from a distance.
 
문장은 같은 지각 동사 heard 썼는데도 각각 call called라는 형태가 다른 목적 보어를 썼습니다. 이렇게 쓰는 이유는 목적어 her call, my name called 관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앞서도 말씀드렸다시피 목적어와 목적 보어는 주어와 술어 관계! 그래서 능동과 수동 관계의 태를 목적어 목적보어에서도 맞춰줘야 합니다.
 
I heard her call my name loudly from a distance. 에서는 her call 능동관계이므로 목적 보어로 동사 원형을, I heard my name called loudly (by her) from a distance. 에서는 my name call 관계가 수동관계이므로 (이름이 불린 것이므로) 과거 분사형을 쓰게 됩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지각동사 다음에 목적 보어는 항상 동사 원형을 써야지. 하면 안됩니다.


[질문] 지각동사를 목적보어로는 항상 동사원형(원형 부정사) 쓰는데, 어떨 때는  ~ing 형태를 쓰기도 합니다. 어떨 목적 보어로 ~ing 형태를 쓰나요?
 
[답변지각동사의 목적보어로 동사 원형(원형 부정사) 오는 것이 맞으나의미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ing 형태를 쓰기도 합니다.
 
1) We use an infinitive(원형 부정사; 동사 원형) after these verbs to say  that we hear or see the whole of an action or event, and we use and ~ing form to suggest that we hear or see an action or event in progress, going on.   
진행의 의미를 강조해 지각 동사의 목적 보어로 ~ing 형태를 쓰게 됩니다.  다음의 문장을 비교해 보죠.
 
I saw her cross the road. (= As I looked, she crossed it from one side to the other.)
I saw her crossing the road.(= As I looked, she was cross it – she was in the middle, on her way across.)
 
I once heard him give a talk on Japanese politics.
As I walked past his room I heard him talking on the phone.
 
2) A progressive form can suggest repetition.
또한 반복의 동작을 나타내 ~ing 형태를 쓰기도 합니다
예문) I saw her throwing stones at the other children. 그녀가 아이들에게 돌을 던지는 것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을 의미합니다.
 
참고서적 ) Practical English Usage, Oxford Univ. press, 1995




10.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
    * ∼을 좋아하다. :  graduate from + 목 (O) → graduate + 목 (X)
    * ∼을 불평하다. :  complain of + 목
    * ∼을 기다리다. :  wait for + 목
    * ∼을 실험하다. :  experiment with + 목
    * ∼을 동정하다. :  sympathize with + 목
    * ∼을 방해하다. :  interfere with + 목
    * ∼을 승낙하다. :  consent to + 목



11.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 ∼에 참석하다
      : attend to + 목 (×)     →  attend + 목 (○)
    * ∼에 어울리다         :  become + 목
    * ∼에 관하여 토의하다  :  discuss + 목
    * ∼과 닮다             :  resemble + 목
    * ∼에게 인사하다       :  greet + 목
    * ∼과 결혼하다         :  marry + 목
    * ∼에 다가서다         :  approach + 목
    * ∼에 대하여 언급하다  :  mention + 목





우리 말로는 꼭 자동사인 것 같은데, 동사 뒤에 꼭 목적어를 취해야 하는 동사들이 있습니다.
목적어를 취해야 한다는 말은 동사 뒤에 명사가 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목적어는 꼭 명사나 명사 상당 어구여야 하며, 전치사 + 명사의 형태는 목적어가 될 수 없습니다. 이런 동사들은 우리 말과는 다르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습니다.
 
이런 단어로는,
 
approach the place (O) / approach to the place (X)
(approach가 '~에 접근하다'란 뜻이기 때문에 '~에' 해당하는 to를 꼭 써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이 동사는 바로 뒤에 명사 목적어를 취합니다. approach to를 사용하면 비문입니다.)
 
attend the meeting (O) / attend at the meeting (X)
(attend가 '~에 참석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에'에 해당하는 전치사를 꼭 써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이 동사는 바로 뒤에 명사 목적어를 취합니다. attend at 를 사용하면 비문입니다.)
 
discuss the topic (O) / discuss about the topic (X)
 (discuss가 '~에 대해 토론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에 대해'에 해당하는 전치사를 꼭 써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이 동사는 바로 뒤에 명사 목적어를 취합니다. discuss about을 사용하면 비문입니다.)
 
enter the room (O) / enter into the room (X)
(enter가 '~에 들어가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에'에 해당하는 전치사를 꼭 써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이 동사는 바로 뒤에 명사 목적어를 취합니다. enter into를 사용하면 비문입니다.)
 
marry him (O) / marry with (X)
(marry가 '~와 결혼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와'에 해당하는 전치사를 꼭 써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이 동사는 바로 뒤에 명사 목적어를 취합니다. marrry with를 사용하면 비문입니다.)
 
reach the pharmacy (O) / reach to the pharmacy (X)
(reach가 '~에 도달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에'에 해당하는 전치사를 꼭 써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이 동사는 바로 뒤에 명사 목적어를 취합니다. reach to the pharmacy를 사용하면 비문입니다.)
 
한 동사는 자동사로도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각 동사마다 다양한 예문을 통해 용법을 익히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2. 공급동사
    * endow A with B   : A에게 B를 수여하다. 주다.
    * entrust A with B =  entrust B to A  : A에게 B를 맡기다. 위임하다.
    * supply A with B  =  supply B for A  : A에게 B를 공급하다.
    * provide A with B =  provide B for A : A에게 B를 공급하다.
    * furnish A with B =  furnish B to A  : A에게 B를 설치하다. 공급하다.
    * present A with B =  present B to A  : A에게 B를 주다. 선사하다.
    * fill A with B    : A에게 B를 채우다.
    * equip A with B   : A에게 B를 갖추게하다, 장비하다.



13. as soon as
    ; as soon as = the moment = the instant = immediately = instantly
      ∼하자마자
  ◇  As soon as --+
      The moment    |
      The instant      | he saw me, he ran away.
      Immediately     |
      Instantly       --+
      = He had  no sooner   seen me  than           he ran away.
                      hardly                       before(when)
                      scarcely                   when (before)
      = No sooner   had he seen me  than      he ran away
         Hardly                                     before
         Scarcely                                 when
      = On (Upon) seeing me, he ran away.



14. 보어의 형식
  ◇보어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외에 부사, 구, 절이 되기도 한다.
  * She is a schoolgirl. (명사가 보어)
    I thought it to be her. (대명사가 보어)
    She is beautiful. (형용사가 보어)
  * School is over. (수업이 끝났다; 부사가 보어)
    He is away. (그는 가고 없다; 부사가 보어)
  * He ran himself out of breath.(그는 너무 뛰어 숨이 찼다; 구가 보어)
  * He seems to know me. (그는 나를 아는 것 같다; 부정사가 보어)
  * The fact is that I know nothing about it. (The fact = that-clause)
    (사실은 나는 그것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 절이 보어)
  * His own efforts have made him what he is.(him = what he is)
    (그가 이렇게 된 것은 그 자신의 노력 때문이다; 절이 보어)





※make는 5형식 모두 응용가능.


1. He made toward the church.

2. She will make a good wife.

3. God made man.

4. He made me a box.

5. He made her his wife.

반응형
반응형
대명사 (Pronoun) Ⅱ

1. 의문사의 용법: 의문문을 나타내는 who, whom, what, which, when 등을
   의문사라고 하며 크게 의문대명사와 의문부사로 나눈다.
   * 의문대명사: who, whom, whose.......
     의문부사  : why, where, when, how.....



  ①직접 의문문과 간접 의문문.
    * Who is that man?
    * I don't know who that man is.
    ◇의문사 + 동사 + 주어형태 → 직접의문문.
    ◇직접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일부분(주어자리, 목적어자리, 주격보어자
      리, 동격자리)이 되어 명사로 쓰이는 경우. (의문사 + 주어 + 동사 → 간접의문문)


  ②의문사가 문두로 나가는 경우.
    : 동사가 think, suppose, believe, imagine, guess...등의 생각동사
      일때는 반드시 의문사를 문두로 도치.
    * What does he want? -+
    * Do you know what he wants? -+ → yes, no의 대답이 가능하다.
    * Do you think what he wants? (×)
      → What do you think he wants? (○) → yes, no로 대답 할 수 없다.


    * 의문사절은 명사처럼 글의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한다.


      ◇ Who did it is a question to me.
         (누가 그것을 했는지 나에게 문제가 된다. 주어의 역할.)


      ◇ The question is who did it.
         (문제는 누가 그것을 했느냐이다. 보어 역할.)


      ◇ Tell me who did it.
         (누가 그것을 했는지 말해다오. 동사의 목적어)


      ◇ There is no doubt as to who did it.
         (그것을 누가 했는지에 대해 의심할 바 없다. 전치사의 목적어.)


    * 의문사절이 전치사의 목적어가 될 때, 전치사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 They are ignorant what they are after.
         (그들은 자기들이 무엇을 추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be ignorant of의 of가 생략되었다.)]


      ◇ I have no idea who did it.
         (누가 그것을 했는지 전혀 모른다.  …as to가 생략된 것이다.)
         = I have no idea as to who did it.



2. 수사의문문: 자기말을 강하게 표현.
  * Who knows?     (수사의문문; 누가 알겠는가?)
    = Nobody knows (평서문; 아무도 모른다.)


  * Who does not know the fact?
    = Everybody knows the fact.


    ◇일반적으로 수사의문문이 긍정이면 평서문은 부정문, 부정이면 긍정문이다.


  * Who is there but commits errors?
    = There is nobody but commits errors.(관·대 주격으로 that ∼ not).
    = Everybody commits errors.


    ∴ Who is there that does not commit errors? (형용사절)
       There is nobody that does not commit errors. (형용사절)


  * Who would do such a thing but a fool?
    = Who but a fool would do such a thing.
    = None(Only) but  a fool would do such a thing.


    ◇ but은 전치사로서 ∼을 제외하고는의 뜻. (save, except)
    ◇ What is the use of ∼ ?: ∼하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



3. 부가의문문


   주로 회화에서 쓰이며 앞문장(주절)이 긍정이면 부정의 부가의문을,
   앞문장이 부정이면 긍정의 부가의문을 사용.
  * They are listening to the radio, aren't they?
  * She can't speak French, can she?


    ◇주절에 be동사가 있을 땐 be동사, 조동사가 있을 땐 부가의문에서도
      조동사를 사용한다.
  * Tom has a book, doesn't he? (○)
                    hasn't he?  (×)


    ◇ have가 본동사로 쓰여져 '소유하다'의 뜻일 땐 부가의문에서는 do로 쓸 것.
  * You've been to Pusan, haven't you?


    ◇ have가 조동사로 쓰일 땐 have로 쓴다.
  * You have to study English, don't you?


    ◇ have to는 부가의문문에서 반드시 have 대신 do를 사용한다.

  * You bought a new car, didn't you?


    ◇일반동사는 부가의문문에서 do를 사용한다.
  * You should study harder, shouldn't you?
  * I ought to go by plane, shouldn't I?


    ◇조동사 should나 ought to는 반드시 shouldn't I 의 형태로 쓴다.
  * She's doing her best, isn't she? (= She is doing her best.)
    She's done her best, hasn't she? (= She has done her best.)


    ◇ 윗 문장의 's는 is도 되고 has도 되나 본래의 문장은 She is doing
       her best와 She has done her best이므로 isn't she와 hasn't she로
       부가의문문을 써야한다.
  * You'd better go at once, hadn't you?


    ◇ You'd는 You had의 약자이며 had better의 부가의문문은 hadn't이다.
  * Do it at once, will you?
    Have a cup of coffee, won't you?


   ◇명령문의 부가의문은 주절이 긍정이든 부정이든 언제나 will you?로 쓰며
      단, 권유의 뜻으로 쓰인 명령문은 won't you? 를 사용한다.

  * We have no time, do we?
    He seldom came here, did he?


    ◇주절에 no, nothing, seldom, hardly, scarcely 등이 있을 경우는
      이들 자체가 부정의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쓴다.



4. 관계대명사 Who


  ① Who
    * This is the girl.  She is a good typist.
      → This is the girl who is a good typist. (형용사절)
    ◇ She가 주격이므로 주격 who를 사용.


  ② Whom
    * This is the boy.  I wanted to see him.
      → This is the boy whom I wanted to see.


  ③ Whose
    * A child is called an orphan.  His parents are dead.
      → A child whose parents are dead is called an orphan.
    ◇ A child와 His는 같은 사람, His가 소유격이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
      인 whose를 씀.



5. 관계대명사 Which:

 선행사가 동물이나 사물일 때 쓰이며 주격으로 which,

 소유격으로 of which나 whose, 목적격으로 which가 쓰인다.

 또한  which가 계속적 용법으로 쓰일 땐 구, 절, 형용사들을 선행사로 받는

 용법이 있다.


  ①주격, 목적격으로 쓰일 때.
    * I have a book.  It is very interesting.
      → I have a book which is very interesting.
 

   * This is the dictionary.  I bought it yesterday.
      → This is the dictionary which I bought (목) yesterday.


      ◇관계대명사 다음에 이어지는 문장에서 주어가 생략되었으면 주격,
        전치사나 타동사의 목적어가 생략되었으면 목적격으로 사용한다.



  ②소유격으로 쓰일 때.
    * This is the word.  I don't know the meaning of it.
      → This is the word which I don't know the meaning of.


         ◇ which는 전치사 of의 목적격이므로 생략 가능.
      → This is the word of which I don't know the meaning.
      → This is the word the meaning of which I don't know.
      → This is the word whose meaning I don't know.


         ◇ which 앞에 전치사 of가 있을 땐 of which가 소유격이기 때문에
            which를 생략 할 수 없다.


  ③ which가 구, 절, 형용사를 선행사로 받을 때.
    * He wanted to come, which was impossible. (= but it)
      ◇관계대명사 앞에 comma가 있으면 계속적인 용법으로서 [접속사
        (and, but, for, though) + 대명사]의 형태이다.


  ④신분, 지위, 성격을 선행사로 받을 때.
    * He is a gentleman, which his brother is not.


    ◇선행사가 사람일지라도 신분, 지위, 성격을 나타낼 때에는 who, whom
      을 쓰지 않고 which나 that을 사용한다.
    * She is no longer the shy girl which(또는 that) she was ten years ago.
      ◇ that은 계속적인 용법에는 쓰이지 않고 제한적 용법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6. 관계대명사와 전치사


   * This is the house.  I spoke of it.
     → This is the house  which I spoke of.
     → This is the house  (which) I spoke of.
     → This is the house  of which I spoke of. (전치사 + 관.대는 생략 불가)
     → This is the house  that I spoke of. (that앞에서는 전치사를 쓸 수 없음.)


※반드시 전치사+관계대명사로 써야하는 경우:

  ① all ( most, many, half, some, both, one, none, neither) of 관계대명사

      e.g.) I have 2 sisters, neither of whom are not married.


  ② 다음의 전치사들인 경우.

     beside, beyond, around, opposite, outside, during, toward,  except, as to

      e.g.) He turned to the gate, outside which his sweetheart was waiting.


  ③ 구나 절을 선행사로 하는 which가 전치사의 목적어일때,

      e.g.) I take care of my garden, for which my father gives me $10 a month.


※반드시 전치사가 관계절 뒤에 있어야 하는 경우:

   e.g.) ① The first thing (that) he thought of was to visit the place again.

           ② Hunting is an amusement (which) I am particularly fond of.





7. 관계대명사 that
 

 ※that은 한정용법에만 쓰이고, 계속적 용법에서는 쓸 수 없다.
    that은 사물, 사람, 동물에 모두 쓰이며 소유격이 없다.
    that 앞에는 전치사를 쓸 수 없다.


  ①선행사가 사람과 동물일 때.
    * A man and his dog that were passing by were injured.


  ②최상급, 서수사, 부정대명사(all, every, any, no, little, few, much)

    the very, the only, the last, the same, any 다음에서는 that을 쓴다.
    * He is the greatest poet that korea has ever produced.


  ③의문대명사 who, what, which 다음에서는 that을 쓴다.
    * Who that has common sense can believe such a thing? (주격)
    * Which is the book that you want to read. (목적격)



8. That의 용법


  ①지시대명사.
    * Can you see that?
    * The climate of korea is milder than that of china.


  ②지시형용사.
    * Give me that chair.
    * from that hour: 2시간부터.
    * at that time  : 2시간에.
    ◇ that이 지시형용사로 쓰일 땐 'that + 명사'의 형태로 that이 다음
      에오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적으로 쓰이며 '저∼', '그∼'의 뜻으
      로 쓰인다.


  ③지시부사.
    * Don't eat that much. (그렇게 많이 먹지 마라)
    ◇ that이 수량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면서 그만
       큼, 그렇게의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 → 지시부사.


  ④접속사로 쓰일 때.
    * That he is innocent is certain.  (주어[명사절])
      = It is certain that he is innocent.   (진주어)
    ◇ that 다음의 문장이 완전한 경우에는 that이 접속사로 쓰인 경우이다.


  ⑤ It ∼ that 강조구문.
    * I bought the book on Monday.
      = It was on Monday that I bought the book.


  ⑥관계대명사로 쓰일 때.
    * He is the greatest actor that has ever lived.
    ◇ that이 관계대명사일 땐 that 앞에 선행사가 있어야 하며 that∼의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또는 보어가 생략되어야 한다.


  ⑦관계부사의 대용으로 쓰일 때.
    * This is the last time that(when) I teach you.
    * This is the village that(where) the poet was born.
    ◇ that이 관계부사 when, where, why, how 등의 대용으로 쓰임.
    ◇ That의 발음: 지시대명사, 지시형용사, 지시부사일 때 → [d t].
                    관계대명사, 접속사, 관계부사일 때     → [d t].



9. 관계대명사 What
  * What(that which) is beautiful is not always good. (주어[명사절])
  * I will do what(all that) I can. (목적어[명사절])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다: what = 선행사 + 관계대명사.
      what은 that which∼, all that∼, anything that∼, the thing which∼와
      같은 용법이다.
  ∴ what은 자체내에 선행사와 관계대명사가 포함되었으며 명사절을 유도한다.
  * What one has: 재산, What one is : 인격.


    ◇ You should judge a man not by what he has but by what he is.
  * A is to B what C is to D
    = Just as C is to D, so is A to B
    = What C is to D, A is to B
    = A가 B에 대한 관계는 C가  D에 대한 관계와 같다.


    ◇ Reading is to the mind what(as) exercise is to the body.
       = Just as exercise is to the body, so is reading to the mind.
       = What exercise is to the body, reading is to the mind.
         (독서가 마음에 대한 관계는 운동이 신체에 대한 관계와 같다.)


  * What is + 비교급: 더욱 ∼ 한 것은.
    ◇ She is beautiful, and what is better still, tender-hearted.


  * What with A and (what with) B
    = 한편으로는 A 때문에, 또 한편으로는 B 때문에. (원인, 이유)


    ◇ What with fatigue and (what with) hunger, he fell down as if he were dead.
       (피곤도 하고 배도 고프고 해서 그는 죽은 사람처럼 쓰러졌다.)


  * What by A and (what by) B. (수단, 방법)
    = 한편으로는 A에 의해서, 또 한편으로는 B에 의해서...


    ◇ What by threats and (what by) entreaties, he achieved his aim.
       (협박도 하고 또 간청도 해서, 그는 그의 목적을 달성했다.)


  * He is, what we call, a self-made man.
    (그는 소위 자수성가한 사람이다.)



10. 관계대명사의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 He had three sons, who became statesmen. (계속적용법, who = and they)
  * He had three sons who became statesmen.  (제한적, 한정적 용법)



◇제한적 용법: , (comma) 없음 - 설명 안해주면 뭔지 알 수 없는 경우

  ① 선행사 제한

  ② 관계대명사절은 순수 형용사절

  ③ 관계대명사 생략가능

  ④ 구어체에서 that 선호



◇계속적 용법:  ,(comma) 있음. - 설명이 없어도 누군지 알 수 있다.

  ① 내용적으로 독립절

  ② 접속사(and, but, for, though) + 대명사

  ③ 관계대명사 생략 불가능

  ④ 문어체적 표현

  ⑤ 특수 선행사는 언제나 비제한적 용법



  * He had four sons who became doctors.
    → 제한적 용법 - 의사가 아닌 아들이 또 있었는지도 모른다.


    He had four sons, who became doctors.
    → 계속적 용법 - 아들 넷이 있었는데, 모두 의사가 되었다.



  * Everybody likes Tom, who is kind. ( , who = for he)
    (모두 Tom을 좋아한다. 왜냐하면 그는 친절하기 때문이다.)

    ==> 비제한적 용법은 추가 설명이라서 고유명사도 가능.


    I met a boy, who told me the news. ( , who = and he)
    (나는 한 소년을 만났는데, 그가 그 소식을 나에게 말했다.)


    The farmer, who is poor, is honest. ( , who = though he)
    (그 농부는 비록 가난하지만 정직하다.)



11. 관계대명사의 생략
  ①타동사 또는 전치사의 목적격.
    * This is the boy (whom) we saw yesterday. (동사의 목적어)
    * He has no friend (whom) he can depend upon. (전치사의 목적어)
    * This is the house (which) he lives in.
      ◇ 관계대명사를 생략 할 때,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전치사는 뒤에 온다.


  ②주격보어, 목적격보어로 쓰일 때
    * He is not the man (which or that) he was two years ago.


  ③관계대명사 다음에 there is, there are가 계속 될 때.
    * He taught me the difference (that) there is between right and wrong.


  ④There is, Here is, It is, What is, Who is로 시작되는 구문에서.
    * There is a boy (who) wants to see you.
    * It was he (that) met her yesterday.


  ⑤예외적으로 관계대명사가 생략이 안되는 경우.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에서는 생략이 불가능하다.
      ◇ I bowed to the gentleman, whom I knew well.


    ⓑ 전치사 + 관계대명사가 시간, 장소, 방법 등을 나타낼 때.
      ◇ I remember the day on which he went to the front. (= when, 시간)


    ⓒ of which, of whom이 어느 부분을 나타낼 때에는 생략이 불가능하다.
      ◇ I bought ten pencils, the half of which I gave my brother.



12. 구와 절
  ◇구분: 두개 이상의 낱말이 모여 한개의 품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을
    구나 절이라고 하며, [주어 + 동사]의 관계가 있으면 '절'이고, 없으면
    '구'라 한다.



13.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


  ①명사적 용법: 명사구, 명사절, 동명사, 부정사의 명사적용법.


    ◇ 주어자리.
      * Tom is a student.
      * To solve this problem is difficult.


    ◇ 명사보어 자리: 주격보어가 주어와 equal이 성립되면 명사보어라 하
       며, 이 경우를 명사적 용법이라고 한다.  주어와 equal이 성립 되지
       않고 주어의 동작을 나타내면 형용사적 용법이다.
      * Tom is an impostor. (Tom = impostor)


    ◇ 타동사의 목적어 자리. (4형식의 D·O 도 해당됨)
      * I know Tom.
      * I know that he is honest.


    ◇ 전치사의 목적어 자리.
      * We cannot rely on what he says.


    ◇ 동격의 자리.
      * He has one aim㏂ to make money. (one aim = to make money)



  ②형용사적 용법: 형용사구, 형용사절, 현재분사.
    ◇ 명사 뒤에서 직접 수식. (한정적용법)
      * The house on that hill is my uncle's.    (형용사구)
      * The girl playing the piano is my sister. (현재분사)


    ◇cf) I am fond of playing the piano.  (명사적용법[동명사])
          → 현재분사는 형용사적 용법이며 동명사는 명사적 용법이다.


    ◇ 형용사 보어 (주어 ≠ 보어)
      * The book is of great value.
      * We are to climb Mt. Hanra this summer.
      * My plan is to climb Mt. Hanra this summer.


  ③부사적 용법: 부사구, 부사절, 부정사의 부사적용법.
    ◇부사적 용법은 생략해도 문장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 형용사적·명사적 용법을 제외한 나머지.
      * He got up early that he might catch the bus.
      * Though he was brave, he turned pale.



14. 복합관계대명사: 관계사 + -ever.(whoever, whomever...)


    ◇ What과 복합관계대명사는 모두 선행사의 역할과 관계대명사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음.


  ①명사적 용법.
    * Give it to whoever wants it. (= anyone who; wants의 주어)
    * Give it to whomever you like. (= anyone whom; like의 목적어)
    * Choose whichever you like. (= anything that)
    * I will give you whatever you need. (= anything that)


  ②형용사적 용법.
    * You may read whatever book you like.(= any book that)
    * Take whichever book you like. (= any of the books that)
    * Whosever horse comes in first wins the prize. (= anyone whose)
      ◇ whosever는 거의 쓰이지 않고 anyone whose가 쓰인다.


  ②부사적 용법. (양보의 부사절을 유도)
    * Whoever may come, he will be welcome. (= No matter who)
    * Whatever you may do, do it well. (= No matter what)
    * Whichever you choose, you will be pleased. (= No matter which)
      ◇오늘의 영어에서는 may를 안 쓰고 직설법을 쓰는 경우가 많다.
      ◇Whatever는 부정문, 의문문에서 강조어로 쓰인다.
        * There can be no doubt whatever about it.
        * Is there any chance whatever?
          (조금이라도 가망이 있습니까?)



15. 관계 형용사
  * He spoke to me in french, which language I could not understand.


    ◇관계대명사로서의 which가 명사 language를 수식한다.
  * I gave them what money I had.


    ◇what은 money를 수식하는 동시에 I had를 형용사절로 money에 연결시킨다.
    = I gave them all the money that I had. (what = all the....that)
  * I will approve whichever(or whatever) course you decide on.(복합관계형용사)



16. 의사 관계 대명사 As


  ◇선행사에 such, the same, as등이 있을 때, 뒤의 as는 관계대명사로 본다.


  * Choose such friends as will benefit you. (will의 주어; 주격)
  * I have the same trouble as you have. (have의 목적어; 목적격)
  * As many men as came were caught. (온 사람은 다 붙잡혔다; 주격)
  * He is absent, as is often the case. (as의 선행사는 He is absent(절))
  * He is American, as I knew from his accent.
    (그의 말투로 안 일이지만 그는 미국인 이었다.)
  * As was the custom with him, he went out for a walk after supper.
    (여느때처럼 식사 후에 산책 나갔다.)



17. But의 용법


  ① 등위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 Summer is hot, but winter is cold.
    * He is a hard-working but not very intelligent boy.


  ② 부사로 쓰이는 경우.
    * He is but a child. (그는 단지 어린애에 지나지 않는다.)
    * It is but a question of money. (그것은 단지 돈에 관한 문제이다.)


      ◇ 부사로 쓰이면 단지, 오로지, 불과(only)의 뜻으로 쓰이며,
         But을 생략해도 문장이 성립한다.


  ③ 전치사로 쓰이는 경우.
    * All but him were drowned. (그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익사했다.)
    * Nobody but me attended the meeting.
      (나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다.)


      ◇ but이 전치사로 쓰이면 except, save의 뜻으로 쓰이며,
         but을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는다. (but + 목적격 형태로 쓸 것.)


  ④ 종속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
    * No one is so old but he may learn.
      = No one is so old that he may not learn.


      ◇ 종속 접속사로 쓰이면 that ∼ not의 뜻으로 쓰이며,
         but이하의 문장은 완전한 문장이 된다.


  ⑤ 관계 대명사로 쓰이는 경우.
    ◇선행사에 부정어인 not, no 등이 있는 경우, but속에 not의 뜻 포함
    * There is no rule but has some exceptions.
      = There is no rule that has not some exceptions.
      ◇ but이하의 문장 불완전



18. 의사 관계 대명사 than
  ◇선행사에 more가 있는 문장에서 주격 또는 목적격으로
  * There are more books than are needed.
  * Her service has been more valuable than was supposed.



19. 이중 제한
  ◇두개의 관계 대명사가 이끄는 형용사절이 하나의 선행사를 공동으로 수식하는 것.
  * There is no one that we know who can do such a thing.
  * Is there anything that you want which you do not have?














1. 관계대명사의 문법적 의미

접속사 + 대명사

하나의 마침표 안에 두 개의 동사를 공존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접속사


ex) I read the book. We had discussed it.

    I read the book we had discussed it.(x)

    I read the book, and we had discussed it.

    => I read the book which we had discussed.



2. 관계대명사의 사용 맥락

선행사를 명시(identify)해준다.


ex) Did you buy the book that we'd discussed in the class?



3. 기존의 오류들


1) 제한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Identifying clause, Non- identifying clause)


계속적 용법 개념은 엉터리다!  없애버려야 한다!


<제한적 용법 : 선행사에 반드시 필요한 설명>

The teacher who teaches English grammar on EBS is a nice lecturer.

<비제한적 용법 : (이미 알고 있는) 선행사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설명>

Choi Inho, who teaches English grammar on EBS is a nice lecturer.


ex) He has five sons who are doctors.(x)

    He has five sons, who are doctors.(x)

    => He has five sons, all of whom are doctors.


ex) I was brought up in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South Korea.(선행사 : 고유명사)

    cf) I was brought up in Seoul which is the capital of South Korea.

   (남한의 수도인 서울과 서울이라는 이름을 가진 도시가 존재한다는 의미가 됨.)


ex) I love my father, who loves my family. (선행사 : 친인척관계)

    cf) I love my father who loves my family.

      (진짜 아버지와 가족을 사랑하는 아버지가 존재한다는 의미가 됨.)


비제한적 용법에서는 기존의 관계대명사를

다른 격으로 바꿔 쓸 수 없고, that도 사용할 수 없다.

=> 선행사, 주격관계대명사(who which)   

    선행사, 목적격관계대명사(whom which)



2) whose와 of which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 - whose

which - whose

※ of which는 which를 소유격 변화를 시킨 것이 아니라 전치사 + 관계대명사일 뿐이다.


ex) Look at the mountain whose top is covered with snow.

    Look at the mountain of which top is covered with snow.(x)

    Look at the mountain of which the top is covered with snow.

    Look at the mountain, the top of which is covered with snow.



1. what(선행사를 포함)을 제외한 모든 관계 대명사는 반드시 선행사를 필요로 한다.

2. 관계대명사 뒤의 문장은 ‘주어‘나 ’목적어‘나 ’보어‘가 빠져있는 불완전한 문장이다.

3. 불완전한 관계대명사절에서 무엇이 어디에서 빠져있는지 알아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ex)Do you remember the man (that) we talked to ☑ at the party last night? (to 목적어)

   Do you remember the girl (that) I asked ☑ to dance with me at the party? (asked 목적어)

   Do you remember the bag (that) I asked Jim to keep an eye on ☑ at the party last night? (on 목적어)



반응형
반응형

대 명 사 (Pronoun) Ⅰ



1. 인칭대명사



2. It의 용법
   ①앞에 언급한 명사를 받는다.
     * He took a stone and threw it. (= a stone)
   ②앞에 나온 구나 절을 받는다.
     * The prisoner attempted to escape, but found it impossible.
     * He is innocent, I know it quite well.
   ③가주어로 쓰일 때.
     * It is very pretty that doll.
   ④가목적어로 쓰일 때.
     * I make it a rule to get up early.
                        to have breakfast at eight.
   ⑤ It가 비인칭대명사로 쓰일 때.
      ⓐ날씨, 명암, 시간, 거리, 계절.
        * It is fine today. (날씨)
        * It is spring now. (계절)
        * What time is it, now? (시간)
        * How far is it from here to the station? (거리)
        * It is dark in the room. (명암)
      ⓑ막연한 상황을 나타낼 때
        * How goes it with you? (요즘 경기가 어떻습니까?)
        * How is it in the market?



3. It ∼ that  강조구문.
  ①평서문의 강조.
    * I bought the book yesterday.
    →  It was I that(who) bought the book yesterday.
    →  It was the book that I bought yesterday.
    →  It was yesterday that(when) I bought the book.
    ◇진주어, 가주어 구문인 경우.
      * that절을 it 자리에 놓아도 문장이 성립함.
      * It is that을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음.
    ◇강조구문인 경우.
      * that절을 it 자리에 놓으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음.
      * It is that을 생략해도 문장이 성립함.

  ②의문문의 강조.
    * Did you send me the flower?
    → You sent me the flower.
    → It was you that sent me the flower.
    → Was it you that sent me the flower?
    ◇의문문 → 평서문 → 강조구문 → 다시 의문문의 순으로 고침.



4. 인칭대명사의 수, 성, 격.
    인칭대명사란 사람의 호칭인 I, he, him, you 등이며, 인칭대명사가 문
    장에서 주어, 주격보어 자리에 있을 땐 주격, 타동사와 전치사의 목적
    어나 목적격보어 자리에 있으면 목적격을 사용한다.
    ◇전치사 다음에 타동사의 목적어에는 반드시 목적격을 사용한다.



5. 소유대명사
  ①소유대명사 = 소유격 + 명사
    * This dictionary is mine. (= my dictionary)
    ◇소유대명사는 [소유격 + 명사] 대신 독립적으로 쓰이며 mine, ours,
      yours, his, hers, theirs 등이 있음.
  ②이중소유격에서 of 다음에 소유대명사 a, an, this, that, any, no,
    which, some, these, another 등은 소유격과 함께 쓸 수 없으므로 'a,
    an … + 명사 + of + 소유대명사'로 쓴다.
    * Show me another book of hers.
  ③소유격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own"을 사용한다.
    * a, any, some, this … 등 + 명사 + of one's own 의 형태로 사용.
    * I have no house of my own.



6. 재귀대명사
  ①재귀적 용법: self형의 재귀대명사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주어의 행위 결과가 다시 주어 자신에게 미치는 경우. (동사에만 stress).
    * She killed herself.
          committed suicide.
          took her own life.
      → 그녀는 자살했다.
    * History repeats itself.


  ②강조용법.
    * I myself wrote this book.
      = I wrote this book myself.
    ◇재귀대명사가 강조용법일 땐 재귀대명사를 생략해도 문장이 성립하
      며, 재귀대명사에 stress가 옴.



7. 전치사 + 재귀대명사
  ① for oneself: 자기 자신을 위하여(for one's sake),
                  혼자 힘으로(without another's help)
  ② by oneself: 외로이, 홀로(all alone)
    * He lives in that house by himself.
  ③기타.
    * The candle went out of itself. (저절로)
    * to oneself: 자기 혼자에게만.
    * beside oneself = insane = mad = at the end of self-control
      : 제정신이 아닌, 미친.
    * come to oneself = become conscious: 의식을 찾다, 제정신이 들다.
    * pride oneself on = be proud of = take (a) pride in.
    * absent oneself from = be absent from.
    * present oneself at = be present at.
    * avail oneself of: ∼을 이용하다.
    * accustom oneself to: ∼에 익숙해지다.
    * overdrink oneself: 과음하다.
    * overwork oneself : 과로하다.
    * oversleep oneself: 늦잠자다.
    * in itself: 본질적으로



8. That of∼, Those of∼
    * The population of Japan is much larger than korea. (×)
      → The population of Japan is much larger that of korea. (○)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that of korea라고 해야함.
    ◇앞에 나온 단어가 단수일 땐 that, 복수일 땐 those를 사용.



9. This, That의 용법
  ① the one          the other
     the former       the latter
     that             this
     전자             후자
    ◇ the one이 후자 the other가 전자를 가리킬 때도 있음.
      * We keep a dog and a cat; I like the one better than the other.
  ② This, That이 앞문장 또는 뒷문장의 내용을 가리킬 때.
     * He did not answer the letter, and this made me all the more angry.
     * Those who like borrowing dislike paying.
       (those who: ∼하는 사람들, He who: ∼하는 사람)



10. Such의 용법
  ① Such was my reward. (내가 받은 보답은 이런 것이었다.)
     * Such는 보어이다. 이것은 단수,복수에 두루 쓰인다.

  ② as such의 형태로 앞에 나온 어구나 문장을 받음.
    * He is a child and must be treated as such.(= a child)
      그는 어린아이 이므로 그렇게(어린아이로) 취급되어야 한다.
  ③ such ∼ as …: …과 같은 ∼
     such as: 가령 ∼과 같은.
    * Such men as Washington and Lincoln are rare. (워싱턴과 같은 이는 드물다.)
    * Autumn gives us fruits, such as pears, persimmons, and apples.
      (가을은 우리에게 배, 감, 사과 같은 과일을 준다.)
  ③기타.
    * Such + 명사 + that -+ 너무 ∼ 하므로.
      So + 형용사/부사 + that -+
    * She is such a lovely child that every body loves her.
    * He had such a fever that he nearly died.
      = He was so feverish that nearly died.



11. The same의 용법
  ① We must do the same. (우리는 같은 것을 해야한다.)
     ◇ 이 same에는 항상 the가 따른다. 여기서는 do의 목적어이다.
  ② This is the same watch as I gave her. (동일종류)
     This is the same watch that I gave her. (동일물)
     ◇ 이 same은 형용사이다.
        보통 the same ∼ as 은 동일종류를
             the same ∼ that 은 동일물을 나타낸다.
  ③ Are these the same people who came here yesterday?
     (이분들이 어제 여기에 왔던 그분들인가?)
     ◇ the same은 that 이외의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와도 같이 쓰인다.
        the same ∼ where (when, who, as)...
  ④ They do not think the same as we do. (그들은 우리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 부사로서의 the same.   the same = in like manner.



12. So의 용법
  ①대명사로서 목적어로 쓰임.
    So는 대명사로서 do, say, tell, speak, think, suppose, imagine,
    hope, believe 등의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인다.
    * Is he coming?  * I think so.
  ②보어로 쓰일 때.
    * He had been weak, but he wouldn't be so no longer.



13. So am I, So I am.
    A: I am pretty.
    B: I am pretty, too.  (   = So am I. )

    A: You are pretty.
    B: Yes, I am pretty, indeed.  (   = So I am.  )



15. 부정대명사 one의 용법
  ①총인칭의 용법
    * One should keep one's word.
    ◇ one이 일반적인 뜻으로 사람, 세상사람, 누구나와 같이 사용되는 경
       우 → 총인칭 용법.
       총인칭 용법으로 사람의 뜻인 경우에도 he, him, himself, she,
       her, herself가 쓰임.
    * One took his book and the other took his pen.
       ◇one이 막연하게 사람을 가리키지 않고, 한사람을 가리킬 때에는
         him, his, himself 등으로 받고 있음.
  ② 명사의 반복을 피할 때.
     A + 단수보통명사 → one. (같은 종류이나 다른 물건)
     the, this, that + 단수보통명사 → it (똑같은 그 물건)
    * If you need a book, I will lend you one.
    * I bought a book, but I lost it.
  ③성질형용사 또는 지시형용사 + one(s).
    * Your plan is a good one on paper.
    ◇ one: 성질형용사나 지시형용사(the, this, that 등) 다음에 오는 명
       사의 대용으로 쓰이는데 단수이면 one, 복수이면 ones를 사용함.
  ④ a certain의 뜻으로 쓰임.
    * I received a letter from one Mr. Jones.



16. one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①셀 수 없는 명사(물질·추상명사) 다음의 one은 생략됨.
    * I like a red rose better than a white one.
    * I like red wine better than white. (one 생략, wine이 물질명사)
  ②명사, 대명사의 소유격 다음이나 소유격 + own 다음에는 one을 생략한다.
    * Your father's house is larger than my father's.
    * This bed is my own.
  ③기수나 서수 다음에 one은 생략한다.
    * He has three cars and I have two.
  ④최상급의 형용사, [the + 비교급] 뒤의 one은 생략한다.
    * He has two sisters; the elder is more beautiful than the younger.



17. One, Other, Another
  ① one, the other: 하나는, 또 하나는.  (순서없음)
     the one, the other: 전자는, 후자는. (순서있음)
    * I have two brothers; One is in England, and the other in America.
    * Mary has a white and a red rose; the one is lovelier than the other.

  ② one, another(또는 a second), the other: 셋 중에서 순서없이 열거할 때.
     one, another, a third, the other: 넷 중에서 순서없이 열거할 때.
     the first, the second, the third: 셋 중에서 순서나 등급대로 열거할 때.
    * There are three men. One is a doctor, another(is) a teacher, and
     the other(is) a lawyer.
    * There are four flowers in the vase; one is 'rose', another,
     'tulip', a third, 'carnation' and the other (또는 the fourth) is 'lily'.
  ③ some - , others: 약간은, 또 약간은. (집단이나 한계가 막연할 때)
     some - , the others: 약간은 그리고 나머지는.(집단이나 한계가 명확할 때)
    * Some went on foot; and others (went) by bus.
    * There are ten students; some study German, and the others (study) French.



18. Another의 네가지 용법
  ①하나 더(the more)의 뜻.
    * Will you have another cup of coffee?
    * I am going to stay another week. (앞으로 또 일주일)
  ②다른(different)의 뜻.
    * I don't like this; show me another.
  ③역시 같은 사람(also one, a similar one)의 뜻.
    * If I am a fool, You are another.
  ④ A is one thing and B is another: A와 B는 별개의 것이다.
    * To know is one thing and to teach is another.
  ⑤기타.
    * They were helping one another in their work.
    * They looked at each other.
    ◇ one another는 셋 이상에서 each other는 둘 사이에서 "서로서로"의
       뜻으로 쓰이는 것이 원칙이나 명확히 구별해서 사용하지는 않는다.



19. Some, Any의 용법
  ①긍정문에서는 some,
    의문문, 조건문, 부정문에서는 any.
    * I have a lot of pencils; if you want any, I will give you some.
  ②권유, 의뢰의 의문문과 긍정의 대답을 기대하는 의문문 → some.
    * Will you have some beer?
    * Any one can do it.
  ③긍정문의 any: 어떤 ∼ 일지라도.
    * Any child knows it.
  ④ some = about, a certain.
    * We waited some twenty minutes. (= about)
    * He went to some place in Africa. (= a certain)



20. None, No의 용법
  * none: 단독으로 쓰여 부정대명사.
     no  : 명사에 붙어 형용사로 쓰임.
  * none은 원래 no one의 뜻으로 대명사로서 단수, 복수 어느 쪽에나 쓰
    이지만 가산명사를 나타낼 때는 보통 복수 취급을 한다.
  * no는 I have∼, There is∼ 문형에서 not any 대신에 쓰여 [조금도 ∼
    아닌]의 뜻을 나타낸다.
  * None have succeeded in solving the problem. (아무도 그 문제를 풀지 못했다.)
    He sought rest and found none. (그는 휴식을 찾았으나 조금도 찾지 못했다.)
  * I have no children. (나는 어린애가 없다.)
    There is no hope. (희망은 조금도 없다.)
    He is no genius. (그는 결코 천재가 아니다.)
    ◇ He is no genius.는 He is not a genius. 보다 강한 뜻이다.



21. 부분부정
  ◇ each, every, all 등이 부정어와 함께 쓰이면 부분부정이 된다.
  ① not + both: 둘 다 ∼ 한 것은 아니다.
    * I know both of them.        (완전긍정)
    * I do not know both of them. (부분부정)
    * I do not know either of them.
      = I know neither of them.   (완전긍정)
  ② not + all: 모두가(셋 이상일 때) ∼ 한 것은 아니다.
    * I invited all of them.        (완전긍정)
    * I did not invite all of them. (부분부정)
    * I did not invite any of them. (완전부정)
      = I invited none of them.
      ◇ not + any = none.
    * All is not gold that glitters. (부분부정)
  ③ not + every: 누구나(어느것이나) ∼ 한 것은 아니다.
    * Everybody likes her.         (완전긍정)
    * Everybody does not like her. (부분부정)
    * Nobody likes her.            (완전부정)
    ◇ Every + not의 완전부정은 nobody(사람인 경우), nothing(사물인 경우).
  ④부분부정.
    * not + always: 항상 ∼ 한 것은 아니다.
      ◇ The rich are not always happy.
         The rich are never happy.
    * not + completely : 완전히 ∼ 한 것은 아니다.
      ◇ Not all of the crew completely happy.
    * not + entirely = not + altogether: 전적으로 ∼ 한 것은 아니다.
      ◇ You are not entirely free from blame.
      ◇ I do not altogether agree with him.
    * not + necessarily: 반드시 ∼ 한 것은 아니다.
      ◇ The greatest minds do not necessarily ripen the quickest.

    * not + absolutely : 절대적으로 ∼ 한 것은 아니다.
    ⇒ not ∼ in the least = not ∼ at all = never: 결코 ∼ 이 아니
        다. (완전부정)



22. At all, -thing, -body의 용법
  ① at all.
    * They are not interested at all. (조금도 ∼이 아니다)
    * If you do it at all do it well. (조건문; 적어도, 기왕에)
    * Do you believe it at all? (의문문; 도대체)
    * I am surprised that he passed the exam at all. (평서문; 어쨌든)
    * There are very little if at all. (관용적; 있다손치더라도)
  ② -thing, -body.
    : any와 some의 용법에 준한다.
    * Is there anything interesting in today's paper?
    * Is anybody in the room?
    * I saw something white in the dark.
      ◇ -thing의 대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는 대개 그 뒤에 온다.
    * everything: [둘 중 하나], something: [상당한 것], nothing: [하찮은 것].
      ◇ Money is everything to her.
         He thinks something of himself.
         If want to be anybody, you must make efforts.
         She was a humble nobody a few years ago.



23. Either, Neither, both.
  * Do you know either of the two sisters? (둘 중의 하나)
    Do you know any of the sisters? (셋 이상 중의 하나)
    ◇ either side = both side.
  * If you do not go, I will not, either.
    If you will not do so, neither will I.
    ◇ not과 too는 같이 못쓰며 too 대신 either를 쓴다.
       not either = neither, neither will I = nor will I.
  * I do not know both of the sisters. (그 두자매를 다 알지는 못한다.)
    ◇ … not + both = 부분부정.

반응형
반응형
부사(Adverb)

1. 부사의 형태
  ①부사: 형용사 + ly.
    * 형용사 + ly: slow → slowly.
                   careful → carefully.
    * -y + ly = ily - happy → happily.
    *  le + ly = ly  - possible → possibly.


      ◇예외: sole → solely.
            whole → wholly.
    * -ue + ly = uly , true → truly, due → duly.
    *    -ll + ly = -lly, full → fully.
    *   -ic + ly = ically , dramatic → dramatically.
      ◇예외: public → publicly.


  ②형용사와 같은 형태의 부사.
    early, long, hard, enough, hear, well, ill, far 등...
    * I get up early in the morning. (부사)
    * The early bird catches the worm. (형용사)



2. 부사의 중복형
    * Mr. Everest is very high. (형용사; 높은)
    * He held his hand high.    (부사; 높이)
    * It is a highly a musing film. ( 부사; 매우, 대단히)
      ◇dear, cheap, hard, hear, late 등이 특히 중복되어 사용됨.



3. 부사의 기능
    : 원칙적으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구, 절) 등을 수식하며, 명사, 대명
      사,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 He speaks English well.
    * Evidently he has made a mistake.
      = It is evident that he has made a mistake.



4. 부사의 위치
  ①양태부사 : (방법부사) 어떻게 (how)에 대한 답
                   ; gladly, well, heartily, carefully


┌-- 자동사 + 양태부사
 |    타동사 + 목 + 양태부사 (또는 타동사 앞에서도 쓰임)
└-- 타동사 + 양태부사 + 긴 목적어


    * He came immediately (자동사 + 양태부사)
    * They speak well of him (능동태)
      = He is well spoken of. (수동태)
    * I well remember those happy days. (정상어순)
      = Well do I remember those happy days. (도치구문)


  ②빈도부사 : (정도부사) how often에 대한 답으로 always, generally,
     regularly, often, never, sometimes, seldom. 정도부사에는 nearly,
     almost, still, barely 등이 있다.


     △위치: 일반동사 앞, be동사 다음, 조동사와 본동사 사이에 온다.


     △목적어가 명사일 때
       put on your coat (O)  : 타 + 부 + 목
       put your coat on (O)  : 타 + 목 + 부


     △ 목적어가 대명사일 때
       put on it (X)
       put it on (O)  : 타 + 목 + 부


     △ 자동사 + 전치사는 하나의 타동사구로 쓰이므로 분리시킬 수 없음.
        Look at the boy.
        Look at him. (○)
        Look him at. (×)



5. 부사어구의 배열 순서
   ① 시간 부사어구 : 작은 단위 + 큰 단위
      장소 부사어구 : 작은 단위 + 큰 단위
     * I'll call on you at seven o'clock next Sunday.
     * We spent the holidays in a cottage is the morning.


   ② 장소 + 방법 + 시간부사
      방법 + 장소 + 시간부사
      짧은 부사구 + 긴 부사구
     * He came to Korea by ship last year.
     * She played beautiful at the concert last night.
     * We arrived safely at the station.



6. 중요한 부사 용법
┌-- still      + 본동사       +-- 명사       + enough (O)
 |    be동사 +    still         |   enough   + 명 (O)
 |    조동사  +    still         +   본동사     |   형.부 + enough (O)
└-- still      + 부정조동사 +-- enough + 형.부 (X)


     * He is still standing. : 그는 아직도 서 있다.
       He is standing still. : 그는 가만히 서 있다. (형)


     * She still dislikes him.
       He still doesn't like her.


     * I need enough eggs.         = I need eggs enough.


     * Only I can see him in the room.
       I can only see him in the room.
       I can see only him in the room.
       I can see him only in the room.


  ◇ ago는 현재를 기준으로 지금부터 ∼전의 뜻이고 과거시제와 함께 쓰인다.
     before는 과거기준으로 그 때보다 그 이전. 과거완료와 함께 쓰임.
     before는 막연한 과거를 나타내어 현재완료와 쓸 수 있으나 ago는 현재완료
     와 쓸 수 없음.


     * He passed away three ago.
     * He said that she had died three years before.
     * I have seen this picture before.
     * I have seen her a few days ago. (X)



7. very, much의 용법
 +---------+---------+---------------+-------------+
 |  very       |  형.부       |    원 급              |  현재분사 |
 +---------+---------+---------------+-------------+
 |  much     |  동사       |  비교.최상급       |  과거분사 |
 +---------+---------+---------------+-------------+
     * He breaks his words very often.
     * I don't like beef much.


   ◇ 과거분사가 명사를 직접 수식하는 한정용법으로 쓰일 때와 동사로서의 성
      격을 잃고 형용사적인 용법으로 쓰이고 있는 tired, pleased, delighted,
      surprised, satisfied등인 경우에는 much대신 very를 사용.
     * A very celebrated scholar presided at the meeting.
     * She had a very annoyed look on her face.
     * He was very tired with a long walk.


   ◇ 서술형용사인 afraid, alike, fond 등은 much로 수식.
      the + very + 최상급
      much + the + 최상급
     * He is much ashamed of his behaviour!.
     * He is the very best runner in our class.
     * He is much the best runner in our class.



8. 의문부사
    * 직접의문문: 의문부사 + 동사 + 주어?
    * 간접의문문: 의문부사 + 주어 + 동사?  (부사절)
      * Where does he live?
      * I don't know + When should I do it?
        → I don't know when I should do it.    (간접의문; know의 목적어)
        → I don't know when to do it.          (부정사구; 명사적용법)


    ◇ think, believe, imagine, suppose 등의 동사 다음에 직접의문문을 연결
       할 때에는 의문부사를 문두로 도치.
        * Do you think + Where does he lives?
          → Do you think where he lives?    (×)
          → Where do you think he lives?    (○)



9. 관계부사
    * where, when, how, why 등은 '부사 + 접속사'의 역할을 하며 '전치사 +
      which'로 바꿀 수가 있다.
      * This is the place + He was born in it.
        → This is the place which he was born in.   (형용사절)
        → This is the place in which he was born.
        → This is the place where he was born.
        → This is the place that he was born.    (where의 대용)
        → This is where he was born.(주격보어; where의 명사절,선행사 the place 생략)


    * 관계부사의 계속적 용법.
      ∼, where ⇒ ∼, and there ..  (그리고 거기에서...)
      ∼, when  ⇒ ∼, and then ...  (그리고 그때...)


      ◇We went to Rome, where we stayed for a week.
        Wait till seven, when he will be back.
        You may go wherever you like. (wherever = to any place that)
        Wherever you may go, I will follow you. (wherever = no matter where)



제목 김찬휘가 답변 드립니다. 조회수 : 745 등록일 : 2006/08/20 03:38
글쓴이 김찬휘 추천수 : 0

오랫만에 자유게시판에 들어 왔더니, 제 책의 일부가 캡쳐되어 있어서 관심있게 읽어 보았습니다.


"관계부사 where가 생략될 수 있느냐?"하는 의문인 것 같은데, 저는 김정호 선생님의 AB 강의를 본 적은 없습니다만 답글을 쓰신 학생의 설명에 따르면....김정호 선생님 강의와 제 강의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았던 모양이군요. 여기서 김정호 선생님의 AB 강의가 옳으냐, 김찬휘의 Orthodox가 옳으냐 하는 얘기는 필요 없을 것 같고요....올바른 문법적 사실에 접근하는 것만이 중요합니다.


결론은 관계부사 where는 생략될 수 없습니다. 그것이 표준적인 정통 영어 문법입니다. (그리고 관계대명사, 관계부사의 생략 문제는 원래 `제한적` 용법, 즉 후치 수식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이므로, 비제한적 용법-소위 계속적 용법-의 경우는 당연히 안되는 것이므로 운위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여기서는 제한적 용법이라 하더라도 where는 다른 관계부사 셋과 다르다는 말씀입니다.)


과거 70-90년대를 풍미했던 `S종합영어. S기본영어`와 그 이후의 M2M 등의 문법책 등이, when, where, why, how 등의 관계부사 4개가 모두 `화끈하게` 생략될 수 있다고 잘못 말한 이후로....그런 오류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것을 종식시키기 위해서 3년전의 Orthodox 강의에서 그 점을 강조했던 것인데, 3년이 지난 지금....그런 논쟁이 재연되고 있는 것은 매우 아쉽습니다.


제 주장만 펼쳐서는 논란만 더 커질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영미권의 문법책 중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Randolph Quirk 교수의 Comprehensive Grammar 책에서 해당 부분을 인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관계부사 when이 쓰일 때 가능한 형태로 Quirk 교수가 제시한 것을 보여드리겠습니다.

 

1. the day on which she arrived

2. the day which she arrived on

3. the day that she arrived on       여기까지가 when 대신 [전치사와 which(that)]을 쓰는 경우.

4. the day she arrived on             관계대명사 목적격 생략

5. the day when she arrived     

6. the day she arrived                  관계부사 when 생략               

7. the day that she arrived            관계부사 when의 대용어 that

8. when she arrived                     기본선행사 생략

 

이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Quirk 교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In expressions of time, omission of the preposition is usual where the pronoun is that or zero:

(that을 쓰거나 zero-즉 생략-인 경우에는 전치사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리하자면 time과 관련된 when의 경우에는 which를 쓸 경우에는 1. 2. 번이 좋으나.....that과 관련된 경우에는 3. 4.번처럼 전치사가 남아있는 형태보다 7. 6.번처럼 전치사가 없는 것을 쓴다는 말입니다.

 

관계부사 when은 관계대명사를 거치지 않고, 직접 that을 대용어로 쓰거나 아예 when이건 that이건 생략한다는 말입니다.

 

그 다음 내용을 인용하겠습니다.

 

With expressions of manner and reason, the zero construction is usual (occasionally that), and there is no preposition. (방식과 이유의 표현에서는 관계부사 생략이 일반적이다...가끔 that을 대용어로 쓰기도 한다....전치사가 없다.)

설명하자면 위의 6번 형태를 많이 쓰고 가끔은 7번 형태도 쓴다는 것입니다. (물론 8번 형태로 선행사 생략을 하기도 합니다.) 즉 when과 같다는 것입니다. (why, how의 경우 1.2.3.4번 형태가 어떻게 되는가 하는 것은, 지금 주제와 관련이 없으므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Quirk 교수의 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hat`s the way (that) he did it. = That`s how he did it.

Is this the reason (that) they came? = Is this why the came?

 

어쨌든 결론은 how, why 모두 대용어 that, 관계부사 생략......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where 부분을 봅시다.

 

일단 가능한 예문을 제시합니다.

 

1. the office at which he works

2. the office which he works at

3. the office that he works at

4. the office he works at         관계부사 where의 생략형태가 아닌 것을 유념하세요. at이 보이죠? 관계대명사 생략.

5. the office where he works

 

여기까지의 pattern은 when과 똑같습니다.  


그 다음에 6. 7번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With a general antecedent, such as place, we may find the following patterns, which however are not acceptable to all speakers: (place와 같은 기본 선행사가 올 때 다음과 같이 패턴을 보게 될지도 모르겠지만, 하지만 그것은 모두가 받아들이는 표현은 아니다.)


(?....물음표...원문에 있는 것임)

(?) That`s the place she stays when she`s in London.

                             she works.

                             she studies.


바로 where의 생략은 문법적으로 의문시되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그렇게 쓰는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 문법적으로 채택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글은 이어집니다.


However, a final at(pattern 4) would be fully acceptable........(하지만 뒤에 at이 오는 4번과 같은 유형은 완전히 인정될 수 있는 표현이다.) 즉 where를 생략하지 말고 관계대명사를 생략하는 방법(즉 전치사가 있는 방법)을 채택하라는 것입니다.


Orthodox의 얘기와 완전히 일치합니다.


이상 Quirk의 교수 설명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문법은 법령이 아니니까, 이걸 절대적으로 써라....저걸 절대적으로 써라....이렇게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where는 분명히 다른 관계부사 셋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고....이것을 뭉뚱그리면 안된다. 관계부사 where 생략은 쓰는 사람이 있다 하더라도(may find)....문법적으로 의문시되며(?).....전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표현이라고 볼 수 없다(not acceptable to all speakers). 하지만 뒤에 전치사를 쓰는 용법은 완전히 인정(fully acceptable)된다.  


모쪼록....학생들의 학습에 혼란이 없기를 바라면서.............


2006. 08. 20. 김찬휘. 새벽 4시.

김찬휘 미국에서 절대다수가 where를 생략하고 있다는 주장은, 전혀 학적 근거를 갖지 못한 주장입니다. 또 where를 생략할 수 없다는 것이 Quirk 교수만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Quirk 교수가 워낙 유명하신 분이라 그 분의 저작을 예로 든 것 뿐입니다. 2008/06/10 03:22
김찬휘 Longman 출판 Focus on Grammar, Oxford 출판사의 English Grammar(그린바움 교수), Longman의 Understanding and Using English Grammar, Cambridge의 Grammar in Use 모두 ...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책들이 where를 생략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2008/06/10 03:24
김찬휘 where가 생략될 수 있다는 착각은 일본 문법책, 또 그 문법책을 베낀 성문종합영어, 맨투맨류의 문법의 온존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른 측면에서 (주로 열심히 공부하지 않은) 미국 사람들이 구어체를 쓰는 과정에서 where를 생략하는 문제를 얘기하면 안됩니다. 그것은 잘못된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2008/06/10 03:26
김찬휘 구어체에서 가정법에서 were 대신 was를 많이 씁니다. 그렇다고 was를 쓰라고 가르치지 않습니다. 미국 사람들 다수가 be not, 더 나아가 have not을 ain`t라고 씁니다. 그렇다고 ain`t로 쓰라고 가르치지는 않습니다. "문법" 수업이라면 더더욱 말할 것도 없습니다. 공부 열심히 한 미국인은 절대 where 생략하지 않습니다 2008/06/10 03:27
김찬휘 참고로 Grammar in Use의 해당 부분을 인용하겠습니다. (p.182) the town where I was born = the town I was born in = the town that I was born in.......뒤의 두 문장에 `in`이 붙어 있는 것이 분명히 보이실 겁니다. 2008/06/10 03:3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