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BC는 연예대상에서도 무한도전 멤버 여섯명에게 공동으로 상줬다더니 연기대상은 한 수 더 뜬다.
이건 뭐.. 시상식이 장난도 아니고.. 
무슨 공동 수상이 그리 많냐.-_-;;


그래.. 니들 입장에서는 괜히 이름 있는 연기자들 불러다가 고생시켜놓고 상 안주고 넘어가려니 찝찝해서 (사실은 내년의 캐스팅과 팬들의 원성이 걱정된 거겠지.) 이 사람은 연기를 잘하니 하나, 저 사람은 인기가 많으니 하나~ 이런 식으로 다 줬겠지.

아무리 그래도
기본적인 선은 지켜야 되는 거 아니냐.


그렇게 출연자들마다 다 주려거든 방송은 왜하는데? 그냥 드라마 종방연 하듯이 니들끼리 집안잔치하란 말이다. 전파낭비 하지 말고.!  공동수상 안하고 줄 사람만 줘도 시상식이 권위가 있으면 팬들도 서운한 마음에서 그치지 원망 안한다.  오죽이나 니들의 기준에 스스로 자신이 없으면 개나 소나 다 주냐고??  엉?


2007 MBC 연기대상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남녀 최우수상=김명민(하얀거탑) 이서진(이산) 윤은혜(커피프린스 1호점) 공효진(고맙습니다)

▶남녀 우수상=이준기(개와 늑대의 시간) 공유(커프프린스 1호점) 한지민(이산) 남상미(개와 늑대의 시간)

▶남녀 신인상=김민성(아현동 마님) 한상진(이산) 이지아(태왕사신기) 이하나(메리대구공방전)

▶시청자가 뽑은 올해의 드라마상=태왕사신기

▶남녀 인기상= 배용준 이지아(이상 태왕사신기)

베스트커플상=배용준-이지아(태왕사신기)

▶특별상: 아역상=박지빈(이산) 서신애(고맙습니다), TV 진행상=김성환(해피실버 고향은 지금) 임예진(기분 좋은날),공로상=정한헌(MBC 탤런트 실장) 태왕사신기 CG팀, PD상=김창완(하얀거탑,커피프린스 1호점)

▶황금연기상: 사극부문=이순재(이산) 최민수(태왕사신기) , 미니시리즈 부문=장혁(고맙습니다) 이선균(커피프린스 1호점) , 연속극 부문=최명길(내곁에 있어) 이윤지(내곁에 있어), 중견배우 부문=김병기(아현동 마님) 박원숙(겨울새)

▶가족상=나문희 김승수 박신혜 서준영(이상 깍두기) ▶라디오부문: 최우수상=최유라(지금은 라디오시대), 우수상=성시경(푸른밤 그리고 성시경입니다) 박정아(별이 빛나는 밤에), 신인상=조영남(지금은 라디오시대)

이서진,한지민,윤은혜,이순재,배용준,김창완,공유,이선균,이준기,남상미

2007년 MBC 연기대상 수상자들 단체사진


저런 식으로 할 거 같으면 차라리 방송을 하지 마라.



공동 수상 남발에다 별로 성공하지도 못한 태왕사신기 몰아주기..  
게다가,
뭐 배용준이 대상?

나도 배우로서 배용준을 좋아한다. 태왕사신기로 인터넷이 떠들썩하기 전에도 나는 그를 좋아했다.
그렇지만 이건 좀 아니라는 생각이 드네.


배용준이 태왕사신기에서 보여준 연기력?

내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글쎄요... 무언가 어정쩡하다. 못한다고는 더더욱 말할 수 없지만 마구 몰입된다고 말할 수 없는 그 정도의 연기였다. - 이건 대본 탓도 있겠지. -

나는 김명민의 팬도 아니고, 그의 드라마는 제대로 본 것도 없지만 하얀거탑에서 보여준 김명민씨의 연기력은 대상을 받아 마땅하다고 보며, 이는 나 뿐 아니라 상반기 모든 미디어에서 극찬하며 동의했던 사실이다. 오죽하면 '연기신'이라는 별명까지 얻었을까.





MBC 의 연기대상은 결코 '연기' 대상이 아니다.



이보슈~. 엠비씨 나으리들.

이름을 '인기'대상이나 '영향력' 대상으로 바꾸는 건 어떻겠소.?



관련기사
MBC, 연기대상도 공동수상 '남발'  [스타뉴스] 00:58
MBC연기대상, 배용준만을 위한 시상식? [마이데일리]




관련글
태왕사신기 이지아 평소 모습 - 아주 짧은 영상 + 바탕화면
태왕사신기를 보면 초한지가 생각나는 이유는-_-;?
태왕사신기와 왕과 나의 공통점
[펌] 개와 늑대의 시간, 숨겨진 이야기
개와 늑대의 시간 웃기는 자료 모음.ㅋㅋㅋ
2007년 최고의 드라마 하얀거탑 (한국판과 일본판 비교)
무한도전 이산 출연분 중 박명수 NG 모음 동영상ㅋㅋㅋ
정조 열풍 - '이산, 한성별곡, 정조 암살 미스테리 8일'에서 정조 이미지
반응형
반응형
가입해 있는 H모 싸이트에서 이메일이 왔다.

'최초 공개, 태왕사신기 이지아 평소 모습.' 라는 거창한 제목으로 온 메일.

인기가 많긴 많은지 이미 조회수가 5천에 달했고.. 지금은 하루 만에 만이 넘었다.
그땐 귀찮아서 안봤지만 호기심에 한번 보니 이쁘긴 이쁘구나.
요즘 연예인들 같지 않게 참하게 이쁘다. - 생김새만 그렇다는 것이지 속마음은 알 수 없고.


그런데!!!!
겨우 21초 짜리 영상이었던 것이다.-_-;;


XX  박스에 가입을 하면 풀 영상을 보여준다고 해서 가입을 했더니....
원하는 영상은 없고, 태왕사신기는 저작권 때문에 검색도 안된다ㅡㅡ;;




한 마디로 난 낚였다. ㅡㅡ;;;
귀찮은 회원 가입만 하고는 원하는 건 얻지 못했으니.

이쯤 되면 이건 일종의 사기라고 본다..
어휴... 정신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귀찮음의 유발로 고발하고 싶네.
이런 건 어디 호소할 데 없남? -_-;


짧은 영상이 서운하여 사진 몇 장을 찾아 올려본다.



큰 사진 모음 (800)
01234567


바탕화면용 사진 모음 (1024)
012345678910




소소한 일상 사진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못알아 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지니 + 세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지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활쏘는 세오(너무 다르다. 수지니랑)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보 촬영



반응형
반응형
태왕사신기 VS 왕과 나

요즘 최고의 인기가도를 달리고 있는
환타지 사극 드라마 태왕사신기'달릴 뻔' 했던 코믹 사극 드라마 왕과 나
드라마 진행상황스토리 진행 방식,
플롯의 치밀성,
캐릭터의 일관성 및 입체성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전문 리뷰......는 못쓰겠고...;;; ㅋㅋ


간단명료한 공통점

1. 요즘 최고의 훈훈한 청소년, 유승호군이 나왔다.
태왕사신기에서는 담덕(광개토대왕)으로,
왕과 나에서는 성종으로.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아역배우들이 끝내주게 잘했다. 이 놀라운 매칭을 보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성인 배우들 중에 연기나 이미지가 배역에 안어울린다고 욕먹는 사람이 있다. 누군지는 말 안하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주인공들이 본격적으로 만나기 전에 긴 사연이 있었다.

태왕사신기는 2천년 전 욘달프(환웅)와 세오(수지니)의 사랑과 그를 바라보는 가진(기하)의 질투,
왕과 나는 궁에 들어오기 전 자을산군(성종)과 소화(폐비 윤씨)의 사랑과 그를 바라보는 천동(김처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태왕사신기 기하 전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왕과나 궁에 들어가기 전 인연



5. 화면 때깔에 돈이 많이 들었다.
태왕사신기는 무려 4백억을 투자한 한국 드라마 사상 최대의 블록버스터이고,
왕과 나는 중전 책봉식 한 장면에 1억원 이상이 들어간 드라마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태왕사신기 사신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왕과 나 중전 책봉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왕과 나 중전 하례



6. 제작자를 실망시켰다. 시청률이 기대에 못미친다.
태왕사신기는 '모래시계'의 김종학 피디, 송지나 작가 콤비에 배용준 주연, 엄청난 CG처리를 한 최대 블럭버스터급이라서 제작자 측에서는 50% 정도의 시청률을 기대했을 것이나 24회 중 19회까지 진행된 후에도 30%도 몇 번 못 넘었다.
왕과 나는 '용의 눈물"의 김재형 피디, (여인천하의) 유동윤 작가 콤비에 조연급이 전인화, 전광렬, 양미경이라는 호화캐스팅에, 초반의 파죽지세와도 같은 상승세도 불구하고 30%를 못넘었다.


7. 시청자를 실망시켰다. 작품성이 기대보다 불만족스럽다.
태왕사신기는 광개토대왕의 대륙 정복 이야기를 예상했던 (나같은) 사람은 19회가 지난 지금까지도 사신이야기에 촛점이 맞춰진 이야기 구성과 느린 전개 때문에 실망했다.
왕과 나는 폐비 윤씨의 새로운 모습과, 잘 알려지지 않았던 내시들의 뒷 이야기를 기대했던 시청자들에게 여인천하 스타일의 궁중암투만을 반복함으로써 많은 시청자들을 실망시켰다.


8. 역사 왜곡이 심하다.
태왕사신기는 담덕이 왕에 오르는 과정을 강조하려다 보니 아버지 고국양왕을 너무 유약하게 그렸다.
왕과 나는 처선과 성종, 폐비 윤씨를 억지로 연결시키려다 보니 김처선의 나이가 엄청나게(세대를 뛰어넘어) 어려졌고 폐비 윤씨의 나이도 많이 어려졌다. 또한 연산군은 소화가 중전이 되고 나서 태어났다.


9. 주인공을 보면 왠지 전작이 떠오른다. 이는 연기를 못해서가 아니라 비슷한 이미지의 배역을 맡았기 때문이다.
태왕사신기에서 배용준을 봐도 겨울연가가 연상된다. 광개토대왕이 아니라 담사마라 불러야 할 것같다.
왕과 나에서 전인화를 보면 지엄한 인수대비가 아니라 자꾸만 여인천하의 문정왕후가 떠오른다.


관련글
태왕사신기를 보면 초한지가 생각나는 이유는-_-;?
왕과 나의 김처선 - 실제로는 일곱 임금 거쳐.. 연산군에게 직언했다가 극형
풍기문란죄로 교수형에 처해진 기생, 어우동(어을우동)과 살아남은 유감동
[드라마의 이해 - 왕과나] '안방의 제왕' 인수대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