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학기, 책 펴기 전에 학습법-습관 먼저 체크!

(2010년 3월 15일 동아일보 기사 참조)

 

신학기를 맞아 아이뿐만 아니라 학부모들도 걱정이 많다. 아이가 초등학교 저학년인 경우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지 염려스럽고, 고학년이면 이제 공부하는 습관을 바로잡을 때가 됐다는 생각에 조바심을 내기 마련이다. 특히 3학년부터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등으로 과목이 세분화되기 때문에 과목별 학습전략이 중요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서술․논술형 시험에도 대비해야 한다. 중고등학교 때까지 영향을 미치는 우리 아이의 초등학교 학습전략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예습,복습은 기본>

 

학교에서 배울 내용을 미리 읽어 보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에 표시를 해두었다가 수업 때 집중적으로 들으면 수업이 훨씬 재미있어진다. 교과서로 그날 배운 내용의 개념을 다시한번 정리한 뒤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풀어보면 실력을 쌓는 데 효과적이다.

 

 

<꼼꼼한 공책정리 습관화>

 

열심히 공부한 내용을 허투루 날려 보내지 않으려면, 공책 정리를 꼼꼼하게 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자세하게 설명하는 내용이나 여러 번 강조하는 문제는 표시해뒀다가 시험 전에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 오답노트는 성적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무기다. 한번 틀린 문제를 또 틀리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수학의 올바른 학습습관: 풀이과정을 연습장에 깔끔하게 정리>

 

저학년 때 주로 연산문제로 계산능력을 키웠다면, 고학년에 접어들어서는 계산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수학은 정확히 이해한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 또한 문제를 풀 때 풀이과정을 깔끔하게 정리하면서 문제 푸는 습관을 들이면 서술형 문제를 풀 때 도움이 된다. 계산만 잘해서는 수학을 잘할 수 없다. 문제 해결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관건이다. 다양한 문제 풀이 방법으로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영어, 문법 반복학습으로 익혀야… 수학, 암기 부분 정리해주면 효과적

[이투데이 김면수 기자] 

초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막상 2학기 수업이 시작됐지만, 아이들에게 공부는 그리 반가운 친구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학교 수업을 등한시 할 수는 없는 일. 특히 영어와 수학은 초등 수업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영어와 수학 공부를 함에 있어 무턱대고 막무가내식 공부를 지향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렇다면 아이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공부 방법은 무엇일까. 


우선, 수학의 경우에는 여느 과목과 달리 외워야 할 게 많다고 생각해 지레 겁을 먹고, 포기하는 학생들이 있다. 하지만, 초등 수학은 외워야 할 것이 적다. 

학부모가 초등학교 수학책을 살펴보고 외워야 할 것을 한 장의 종이에 정리해주면 아이들이 안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 익숙한 학생이라면 책 대신 스마트 기기로 공부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아이스크림 홈런 초등학습연구소 최형순 소장은 “초등 저학년 시기에는 생활 속에서 왜 수학이 필요한지 깨닫게 하는 기초적 개념, 필요성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며 초등 수학 학습의 단계별 중요성을 조언했다. 

특히, 수학의 경우 2학기 첫 단원에서는 공통적으로 ‘소수(小數)’가 등장한다. 학년별로 수준 차이는 있지만 소수의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 3학년 때부터 소수는 계속 활용된다.

5, 6학년의 경우, 소수의 사칙연산이 능숙하지 못하면 문제 풀이 방법을 알고도 계산 오류로 인해 곤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2학기와 더불어 시작되는 수학 교과의 소수 단원 학습을 가정에서도 충분히 반복해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스토리텔링형 수학도 마찬가지다. 교육업체 전문가들은 스토리텔링형 수학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아이에게) 문제를 꼼꼼히 읽는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절실하다고 전했다.

또 스토리텔링형 수학의 경우에는 아이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단어가 적지 않기 때문에 쉬운 말로 풀어서 써 보면 문제를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영어는 듣기와 말하기 위주로 진행되면서 문법 공부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기는 학부모들이 많다. 

전문가들은 “읽기와 쓰기, 듣기와 말하기를 효과적으로 빠른 시간 안에 학습하기 위해서는 문법 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문법은) 전체 내용을 한 번 훑고 난 후 여러 번 복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반복학습은 본격적으로 영문법을 시작하는 초등 5~6학년 학생에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반드시 알아둬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한 가지 문법적 사항을 완벽히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령 모르는 부분이 있어도 일단 모든 영역의 문법적 내용을 한번 훑어보는 것이 영문법에 대한 전체적인 감을 파악하는 데 매우 효율적이다.

이밖에도 문법 규칙을 배웠다고 해서 문장의 형태와 뜻, 그리고 어떤 상황에 사용되는지를 모두 익힌 것은 아니다.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많기 때문에 무엇보다 흥미를 잃지 않고, 배우고자 하는 마음의 자세가 중요하다. 그것이 바로 영·수와 친해지는 지름길이다.

반응형
반응형

[이데일리 e뉴스 김민정 기자] 많은 이들이 밤에 제대로 잠들지 못해 어려움을 한 번쯤은 겪어 봤을 것이다.

이에 미국 허핑턴 포스터가 전문가들의 말과 연구를 인용해 ‘빨리 잠들기 위한 7가지 방법’을 소개했다.

◆ 전자제품이 꺼지는 시간을 설정할 것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서 나오는 강한 빛은 수면 촉진 호르몬인 멜라토닌 생성을 억제해 수면을 방해한다고 알려졌다.

미국 심리학자이자 수면전문가인 마이클 브레우스 박사는 취침 1시간 전에 모든 전자제품의 전원을 끌 것을 추천했다.

◆ 걱정거리를 일기로 쓸 것

잠자리에 누워 뒤척이는 것은 아직 생각의 정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 브레우스 박사는 마음속 걱정거리를 지우는 것이 빠른 수면에 매우 효과적이라며 일기를 쓰라고 조언했다.

◆ 취침 시간에 울리도록 알람을 맞출 것

일정한 취침 시간은 아이들 뿐만아니라 성인에게도 중요하다. 항상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면 수면의 질이 높아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러가지 일을 하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시간을 흘려버린다. 이에 브레우스 박사는 취침 시간 15분 전 알람을 설정하라고 조언했다.

◆ 일은 직장해서만 할 것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밤이나 주말에도 일에 관한 이메일을 주고 받는 사람이 늘어났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레슬리 펄로 교수팀이 시행한 연구에 따르면 전문직 종사자들의 26%가 잠들때까지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당시 연구진은 일주일에 단 하루 저녁만 스마트폰을 쓰지 않아도 업무의욕이 높아지고 행복함도 더 커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 운동은 가급적 오전이나 낮에 할 것

미국 국립수면재단에 따르면 운동을 하지 않는 것보다 하는 것이 잠을 더 쉽게 잘 수 있지만 오전이나 낮에 하는 운동이 퇴근 뒤나 저녁 식사 후하는 운동보다 수면의 질을 더 높일 수 있다.

◆ 자기 전 똑같은 일상을 반복할 것

마사재퍼슨병원 수면의학센터 크리스 윈터 박사에 따르면 양치와 세수를 하고 잠옷을 입는 등 잠자리에 들기 전 일련의 동작을 일상화하면 우리 몸도 자연스럽게 잠들 준비를 하게 된다.

◆ 피로할 때 침대에 누울 것

피로함을 느낄 때 견디면 금세 괜찮아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이는 체력을 과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그 다음날 더 피곤할 수 있다.

브레우스 박사는 피곤할 때 바로 잠들지 않으면 3시간 이상 잠을 못잘 수 있으므로 피로를 느낄 때 바로 침대에 들라고 조언했다.

김민정 (a20302@edaily.co.kr)

반응형
반응형

1. Rainy Mood - http://www.rainymood.com/
그냥 약간의 천둥소리와 함께 빗소리를 끊임없이 재생해주는 사이트 


추천곡도 틀어줌. 이걸 켜놓고 분위기있는 음악이랑 함께 들으면 good.







2. Musicovery - http://musicovery.com/
그날그날 자기 기분에 맞춰 음악을 선곡해주는 사이트. 회원가입해야 더 많은 음악을 들을 수 있음. 


네모난 칸에 현재 기분에 맞는 곳에 클릭하면 적절한 음악이 재생된다. 시대별,장르별 음악을 다양하게 수록.

 






3. Radioping - http://www.radioping.com/

전세계의 라디오를 무료로 청취할 수 있는 사이트. 회원가입 안해도 됨. 


북한 빼고 웬만한 국가의 라디오 다 들을 수 있듬. 






4. Top Documentary Films - http://topdocumentaryfilms.com/

다양한 장르의 양질의 다큐를 무료로 시청할 수가 있다. 영문자막이나 번역은 없다


영어듣기 훈련도 할 겸 가보길 추천 






5. yoUeFO - http://www.youefo.com/

한국의 수많은 단편 독립영화를 모아놓은 사이트. 



젊은 감독들과 감독지망생들이 제작한 다양한 실험적인 독립영화를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