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사에 대한 응답 (천만에요!)

(= "별말을 다 해!", "괜찮아!", "신경 쓰지 마!")


1️⃣ 가장 일반적인 표현

  • You’re welcome. (천만에요.)
  • No problem. (별거 아니야.)
  • Any time. (언제든지!)

📝 설명:
이 표현들은 어떤 상황에서든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감사 응답이다.
*"Any time."*은 특히 "앞으로도 언제든지 도와줄게" 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 예문:
A: Thanks for your help!
B: You’re welcome! (천만에요!)

 

A: Thanks for picking me up.
B: Any time! (언제든지!)


2️⃣ "정말 별거 아니야"라고 할 때

  • Forget it. (잊어버려!)
  • Don’t mention it. (별말을 다 해.)
  • Never mind. (신경 쓰지 마.)
  • Doesn’t matter. (별일 아냐.)

📝 설명:
이 표현들은 "정말 별일 아니야"라는 뜻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Forget it."*과 *"Never mind."*는 캐주얼한 표현이다.

 

💬 예문:
A: Thanks for helping me with my homework!
B: Forget it! (별거 아냐!)

 

A: I really appreciate it!
B: Don’t mention it. (별말을 다 해.)

 

✅ "Don't mention it."은 주로 상대방이 고마워할 정도는 아닌데도 계속 감사 인사를 할 때 사용.
✅ 너무 공식적이지는 않아서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충분히 사용 가능!
✅ 하지만 친한 친구 사이에서는 조금 딱딱하게 들릴 수도 있기 때문에 친한 친구보다는 동료, 어른, 정중한 대화에서 더 자연스럽다. 

 

💡 어떤 상황에서 쓰일까?

 

💬 일상적인 상황:
A: Thanks for helping me with my homework!
B: Don't mention it! (별말을 다 해.) → (정중하지만 너무 격식 있지는 않음.)

 

💬 격식 있는 상황:
A: Thank you for your assistance with this project.
B: Don't mention it. (별말씀을요.) → (공손하고 자연스러움.)

 

💬 친한 친구끼리라면?
A: Thanks for buying me coffee today!
B: No problem! (괜찮아~) → (이런 식으로 더 캐주얼한 표현이 자연스러울 수 있음.)

 

📌 

  • "Don't mention it."은 격식이 너무 딱딱한 표현은 아니지만, 
  • 완전 캐주얼한 상황에서는 *"No problem."*이나 "Any time!" 같은 표현이 더 적절할 수도 있음.

3️⃣ "이 정도는 당연히 해야지"라고 할 때

  • It’s the least I can do. (이 정도는 당연하지.)
  • Think nothing of it. (아무것도 아니야.)
  • I’m glad to be of help. (도움이 돼서 기뻐.)

📝 설명:
이 표현들은 "내가 해야 할 당연한 일이야"라는 의미를 포함해.
"I’m glad to be of help."격식 있는 표현으로 쓰일 수 있다.

 

💬 예문:
A: Thanks for everything!
B: It’s the least I can do! (이 정도는 당연하지!)

A: I don’t know what I would have done without you.
B: I’m glad to be of help! (도움이 돼서 기뻐.)


4️⃣ 친한 사이에서 쓰는 표현

  • What are friends for? (친구 좋다는 게 뭐야~)
  • Come on, I was just returning the favor. (에이, 그냥 보답한 거야.)

📝 설명:
이 표현들은 친구나 가까운 사람에게 사용할 때 좋아.
"Come on, I was just returning the favor."상대방이 예전에 도와준 적이 있어서 보답하는 경우에 쓰임.

 

💬 예문:
A: Thanks for covering for me at work!
B: What are friends for? (친구 좋다는 게 뭐야!)

 

A: I appreciate your help.
B: Come on, I was just returning the favor! (에이, 그냥 보답한 거야!)


5️⃣ 격식 있는 표현

  • It’s a pleasure. (기쁨입니다.)
  • The pleasure is mine. (제가 더 기쁘죠.)
  • My pleasure. (별말씀을요.)

📝 설명:
이 표현들은 공식적인 자리격식을 차려야 하는 상황에서 많이 사용된다.


특히 "The pleasure is mine."은 상대방이 "It’s a pleasure."라고 말했을 때 응답으로도 사용 가능.

 

💬 예문:
A: Thank you for your guidance.
B: It’s a pleasure! (기쁨입니다!)

 

A: I really appreciate your time.
B: The pleasure is mine. (제가 더 기쁘죠.)

반응형
반응형

감사를 표현할 때 (고마움을 전하는 표현)

(= "정말 고마워!", "고맙다는 말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

1️⃣ 일반적인 감사 표현

  • I cannot thank you enough. (아무리 감사해도 부족해.)
  • I’m very grateful. (정말 감사해.)
  • I’d appreciate it. (정말 감사할게요.)
  • How can I ever thank you? (어떻게 감사해야 할지 모르겠어.)

📝 설명:
이 표현들은 일반적인 감사 표현으로, 일상에서 누구에게나 사용할 수 있다.
특히 "I’d appreciate it."은 상대방에게 부탁할 때도 자주 사용된다.
예: "Could you help me? I’d appreciate it."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예문:
A: I finished your report for you.
B: I cannot thank you enough! (너무너무 고마워!)

2️⃣ 감탄사 + 감사 표현

  • How thoughtful of you! (정말 배려심 깊네!)
  • It’s sweet of you. (너무 고마워!)
  • Thanks. I’m flattered. (고마워! 영광이야.)
  • I’m speechless. (말이 안 나올 정도로 감사해.)

📝 설명:
이 표현들은 상대방이 특별히 배려해 줬거나 칭찬해 줬을 때 많이 사용한다. 특히 "Thanks. I’m flattered."는 칭찬을 받았을 때 겸손하게 반응할 때 자주 쓰인다.

예: "You’re so talented!" → "Thanks. I’m flattered."

💬 예문:
A: You did an amazing job on the project!
B: Thanks. I’m flattered! (고마워! 영광이야.)

3️⃣ 더 큰 감사 표현 (특별히 큰 도움을 받았을 때)

  • I owe you one. (신세 졌어.)
  • I owe you big. (엄청 신세 졌어.)
  • Thanks a million. (정말 고마워!)
  • I’m much obliged. (정말 감사드립니다.)

📝 설명:
"I owe you one."과 "I owe you big." "나중에 꼭 보답할게"라는 의미가 있다.
"I’m much obliged."는 공식적이거나 격식 있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 예문:
A: I fixed your car for you.
B: I owe you big! (진짜 신세 졌어!)

4️⃣ 감정이 북받칠 때 (정말 깊이 감사할 때)

  • How can I make it up to you? (어떻게 보답해야 할까?)
  • I don’t know what to say.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어.)
  • It’s the least I can do. (이 정도는 당연히 해야지.)

📝 설명:
이 표현들은 정말 크게 감동받았을 때 사용한다. 특히 "How can I make it up to you?"는 상대방에게 큰 도움을 받아서 보답하고 싶을 때 사용함.

💬 예문:
A: I paid off your debt for you.
B: How can I make it up to you? (어떻게 보답해야 할지 모르겠어.)

반응형
반응형

I don’t know (모르겠어)

(= "나도 몰라!")

 

1️⃣ 아주 흔한 표현

  • I have no idea.
  • I don’t know.
  • I couldn’t tell you.

📝 설명:
이 표현들은 일반적으로 "모르겠다"는 뜻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예문:
A: What time does the meeting start?
B: I have no idea. (전혀 몰라.)


2️⃣ 모른다는 걸 강조하는 표현

  • You got me.
  • Beats me.
  • I haven’t the vaguest idea.
  • I haven’t the foggiest.

📝 설명:
"You got me."와*"Beats me."는 캐주얼한 표현이고, "I haven’t the foggiest."아주 정중한 느낌이다.

 

💬 예문:
A: Why is he acting so weird today?
B: Beats me. (나도 전혀 몰라.)


3️⃣ 질문을 피할 때

  • Don’t ask me.
  • Don’t look at me.

📝 설명:
"나한테 묻지 마"라는 느낌으로, 질문을 받고 싶지 않을 때 사용.

 

💬 예문:
A: Who ate the last slice of pizza?
B: Don’t look at me! (나한테 묻지 마!)


4️⃣ "알아맞혀 봐야지" 뉘앙스

  • Your guess is as good as mine. (너나 나나 똑같이 몰라.)
  • Who knows? (누가 알겠어?)

📝 설명:
같이 모른다는 걸 강조하는 표현.

💬 예문:
A: Do you think it will rain tomorrow?
B: Who knows? (누가 알겠어?)

반응형
반응형

Don’t do it (하지 마!)

1️⃣ 강하게 만류하는 표현

  • I wouldn’t if I were you. (나라면 안 할 거야.)
  • Not here you don’t. (여기선 그러지 마.)
  • Cut it out. (그만해!)
  • Forget it. (그 생각 버려!)

📝 설명:
"Cut it out."은 특히 장난을 그만두라고 할 때 많이 쓰인다.

 

💬 예문:
A: I’m going to tell the teacher about this.
B: I wouldn’t if I were you. (나라면 안 할 거야.)


2️⃣ 약하게 만류하는 표현

  • Better leave well enough alone. (괜히 건드리지 마.)
  • Don’t bother. (굳이 안 그래도 돼.)

📝 설명:
강하게 반대하는 게 아니라 "굳이 할 필요 없어"라는 뉘앙스를 가짐.

 

💬 예문:
A: Should I try fixing it myself?
B: Better leave well enough alone. (괜히 건드리지 마.)

반응형
반응형

Surprise, Disbelief (놀람 & 불신)

(= "그럴 리가!", "믿을 수 없어!")

1️⃣ 강한 놀람 & 불신

  • It can’t be. (그럴 리가 없어.)
  • I can’t believe it. (믿을 수 없어.)
  • It’s too good to be true. (너무 좋아서 믿을 수 없어.)

📝 설명:
이 표현들은 예상하지 못한 일이 일어났을 때 쓰인다.

특히 "It’s too good to be true."는 너무 좋은 일이어서 오히려 의심스럽다는 뉘앙스를 가짐.

 

💬 예문:
A: I won the lottery!
B: It can’t be! (그럴 리가 없어!)


2️⃣ 상대방이 장난치는 줄 알 때

  • You’re joking. (장난이지?)
  • You must be kidding. (농담이지?)

📝 설명:
상대방의 말이 너무 황당하거나 믿기 어려울 때 쓰는 표현.

💬 예문:
A: I saw your favorite celebrity at the mall today!
B: You must be kidding! (농담이지?!)


3️⃣ 감탄사

  • My goodness. (맙소사!)

📝 설명:
놀랄 때 짧고 강하게 표현하는 감탄사.

💬 예문:
A: The storm completely destroyed their house.
B: My goodness... (맙소사…)

반응형
반응형

 


1️⃣ 완곡하게 반대하는 표현

(=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동의하기 어려워")

  • I disagree with you.
  • I don’t think so.
  • I wouldn’t say that.

📝 설명:
이 표현들은 상대방의 의견에 직접 반대하지만, 부드럽고 예의 바르게 표현하는 방법.

 

"I disagree with you."는 가장 직접적이지만 정중한 표현이다.

 

💬 예문:
A: This new policy will make things easier for everyone.
B: I don’t think so.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A: He is the best player on the team.
B: I wouldn’t say that. (꼭 그렇다고는 못 하겠어.)


2️⃣ 가능성을 부정하는 표현

(= "아닐 것 같은데", "확신할 수 없어")

  • I doubt it.
  • Probably not.
  • Not likely.
  • I wouldn’t bet on it.

📝 설명:
이 표현들은 "그럴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로, 직접적으로 반대하기보다는 회의적인 태도를 보일 때 사용한다.

 

특히 "I wouldn’t bet on it." "난 그걸 장담하지 못하겠어"라는 의미로,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고 말할 때 사용한다.

 

💬 예문:
A: Do you think they’ll win the championship this year?
B: I doubt it. (그럴 것 같지 않은데.)

 

A: Will the new manager improve the company?
B: Probably not. (아마 아닐 걸.)


3️⃣ 강하게 반대하는 표현

(= "절대 아냐", "말도 안 돼")

  • No way.
  • Never.
  • Don’t count on it.

📝 설명:
이 표현들은 강한 반대나 부정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특히 *"No way."*는 "말도 안 돼"라는 뜻으로 캐주얼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 "Never."는 단호한 거절이고, "Don’t count on it." "그걸 기대하지 않는 게 좋아"라는 의미이다.

💬 예문:
A: Do you think he’ll apologize?
B: No way! (말도 안 돼!)

 

A: She said she might change her mind.
B: Don’t count on it. (그럴 가능성은 없어.)


정리

완곡한 반대: I disagree with you, I don’t think so, I wouldn’t say that
가능성을 낮게 보는 표현: I doubt it, Probably not, Not likely, I wouldn’t bet on it
강한 반대: No way, Never, Don’t count on it.

 

 

반응형
반응형

 

동의한다!라고만 하면 너무 딱딱하고 멋이 없기 때문에 

느낌적인 느낌을 살리려면 

정확한 어감을 알 필요가 있다.

 

 

1️⃣ 강한 동의 & 강조하는 표현

(= "정말 그래!", "완전 동의해!")

  • You can say that again.
  • You bet.
  • That’s for sure.
  • I couldn’t agree with you more.
  • I agree with you 100 percent.
  • Absolutely.
  • Exactly.

📝 설명:
이 표현들은 "완전히 동의한다"는 의미이다.

 

특히  "I couldn’t agree with you more""이보다 더 동의할 수 없다"는 뜻으로, 최대한의 동의를 나타낼때 사용할 수 있다. "You bet"는 캐주얼한 표현이고, "Absolutely"나 "Exactly"는 포멀한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예문:
A: The weather today is just perfect!
B: You can say that again! (완전 맞아!)

 

A: Hard work always pays off.
B: I couldn’t agree with you more. (100% 동의해.)


2️⃣ 상대방의 말이 너무 당연할 때 (공감 표현)

(= "그러니까 말이야!", "내 말이!")

  • Tell me about it.
  • You are telling me.
  • Don’t I know it.

📝 설명:
이 표현들은 상대방이 말한 내용이 너무 당연하거나, 이미 본인도 잘 알고 있는 사실일 때 사용한다.

 

특히 "Tell me about it""굳이 말 안 해도 나도 뼈저리게 알고 있어"라는 의미로 약간 피곤한 뉘앙스를 담을 수도 있다.

 

💬 예문:
A: This traffic is driving me crazy! (이 교통체증 진짜 미치겠어!)
B: Tell me about it! (내 말이! 나도 완전 공감해!)

 

A: Mondays are the worst. (월요일이 제일 최악이야.)
B: You are telling me. (완전 공감이야.)


3️⃣ 상대방이 한 말이 너무 약할 때 (사실은 더 심해!)

(= "그 정도가 아니라 훨씬 심해!", "말이 너무 약하다")

  • That’s putting it mildly. (= That’s putting it lightly.)
  • To say the least.

📝 설명:
이 표현들은 상대방이 너무 약하게 표현했을 때, 사실은 더 심하거나 강한 의견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 예문:
A: He’s not very good at driving. (그 사람 운전 잘 못 해.)
B: That’s putting it mildly! (그 정도가 아니라 엄청 못하지!)

 

A: The exam was a little difficult. (시험이 조금 어렵더라.)
B: To say the least! (그렇게 말하면 부족하지! 완전 어려웠어!)


4️⃣ 내가 하려던 말을 상대가 먼저 했을 때

(= "내가 하려던 말이야!", "딱 내가 하려던 말!")

  •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 설명:
상대방이 내가 하려던 말을 먼저 했을 때 사용하는 표현.

💬 예문:
A: This is the best pizza I’ve ever had! (이거 내가 먹어본 피자 중에 최고야!)
B: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딱 내가 하려던 말이야!)


5️⃣ 상대방이 정확한 말을 했을 때

(= "정확해!", "핵심을 찔렀어!")

  • You hit the nail on the head.

📝 설명:
상대방이 어떤 문제나 상황을 정확하게 짚었을 때, "못을 정확히 박았다"는 의미 그대로, 핵심을 찔렀다는 뜻.

 

💬 예문:
A: I think the biggest problem with this project is poor communication.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큰 문제는 의사소통 부족인 것 같아.)
B: You hit the nail on the head! (정확해! 바로 그거야!)


6️⃣ 짧고 강한 동의 표현

(= "맞아!", "그러게!")

  • I’ll say.
  • You said it.
  • I’m with you.

📝 설명:
이 표현들은 짧고 간단하게 동의할 때 사용한다.

 

특히 "I’ll say"는 "완전 그래!"라는 뜻으로 감탄사처럼 쓰이고, "I’m with you"는 "나도 같은 생각이야"라는 뜻이야.

 

💬 예문:
A: This view is absolutely stunning. (이 풍경 진짜 끝내준다.)
B: I’ll say! (완전 그래!)

 

A: We should take a break. (우리 좀 쉬어야 해.)
B: I’m with you. (나도 동의해.)


정리

강한 동의: You can say that again, You bet, Absolutely, Exactly
너무 당연해서 공감: Tell me about it, You are telling me, Don’t I know it
상대가 너무 약하게 표현했을 때: That’s putting it mildly, To say the least
내가 하려던 말을 상대가 먼저 했을 때: You took the words right out of my mouth
상대가 정확한 말을 했을 때: You hit the nail on the head
짧고 강한 동의 표현: I’ll say, You said it, I’m with you

 

반응형
반응형

"전화 바꿔 드릴게요~"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I will put you through = I will connect you.

반응형
반응형

"금방 자리 비우셨는데요."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He just stepped out = He went out for a short time.

반응형
반응형

"방해해서 죄송하지만.. "은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Sorry to interrupt = I hate to interrupt, but.. = Sorry to bother you... but

반응형
반응형

"지금까지는 좋아" "지금까지는 순조로워!"👉 "아직까진 잘 굴러가!"👉 "여기까지는 문제 없어!"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so far, so good~

반응형
반응형

'진절머리(진저리)가 나다' '신물나다' '지긋지긋하다'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fed up with something

 

1️⃣ "fed up with"의 의미

  • 지겹고 짜증 나는 상황에 대해 불평할 때 사용
  • 오랫동안 참았지만 이제 한계에 도달한 느낌
  • 주로 부정적인 감정과 함께 사용됨

예시:
✔ I'm fed up with his lies. (난 그의 거짓말에 진절머리가 나.)
✔ She's fed up with waiting. (그녀는 기다리는 게 지긋지긋해.)
✔ I'm fed up with this job. I need a new one. (이 직장 정말 질렸어. 새 직장이 필요해.)


2️⃣ "fed up with"와 비슷한 표현

1. Sick of → "지겨워, 질렸어" (짜증 난 감정)
✔ I'm sick of his excuses. (그의 변명에 질렸어.)
✔ I'm sick of this weather. (이 날씨 진짜 싫다.)

2. Tired of → "질려버렸어" (지루하거나 반복적인 것에 대한 불만)
✔ I'm tired of eating the same food every day. (맨날 같은 음식 먹는 거 지겨워.)
✔ She's tired of hearing the same complaints. (그녀는 같은 불평을 듣는 게 지쳤어.)

3. Had enough of → "이제 정말 충분해!" (더 이상 참을 수 없을 때)
✔ I've had enough of his attitude. (그의 태도에 질릴 만큼 질렸어.)
✔ We've had enough of this nonsense. (우린 이 말도 안 되는 일에 진절머리가 나.)

4. Over it → "이제 관심 없어, 질렸어" (쿨하거나 무심한 느낌)
✔ I'm so over it. (아 진짜 이제 질렸어.)
✔ She's over it and moving on. (그녀는 이제 질렸고, 새로운 길을 가고 있어.)


3️⃣ "fed up with"과 다른 표현의 차이점

표현의미감정 강도

fed up with 지긋지긋하다, 진절머리 난다 강함 😡
sick of 지겹고 싫다 강함 🤢
tired of 지루하고 질렸다 중간 😞
had enough of 더는 못 참겠다 강함 😠
over it 이제 신경 안 쓴다 약함 😏
반응형
반응형

'번갈아 가면서 ~하다' '교대로 ~하다'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take turns doing something = alternate

반응형
반응형

 

"(선물을 받은 후) 뭘 이런 걸 다... " "안 주셔도 되는데...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You shouldn't have...

반응형
반응형

저기 내려줘~ 

가는 길에 나 좀 떨구어 줘.. 등의 표현으로 이해하면 될 듯.

= take someone to a place and leave them there

'누군가를 차에 태워서 내려주다'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drop someone off

 

반응형
반응형

"우리 조금씩 돈 거둬서 이선생님 생일 선물 좀 살까?"

이런 표현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누군가와 함께 하고 싶을 때 이렇게 질문하면 되요~

"나도 끼어도 돼?" "같이 해도 돼?" "합석할까?"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Do you mind if I join you?

반응형
반응형

누군가가 내 말을 못알아 듣는 것 같을 때 할 수 있는 말~

'내말은 그말이 아니라...'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I didn't mean that

반응형
반응형

'옷을 입다'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put on ~ 과 wear은 달라요~

반응형
반응형

'무엇보다도' '거기에 더하여' '~에 추가하여' 는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 = on top of that = in addition to = also = besides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