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종13

[펌] 무엇이 인수대비를 20대에 권력의 핵심으로 만들었는가 출 처: 승복이님의 ♤끄적끄적 이야기♤ / 블로그 / 냐하하하~ / 2006.08.14 [원문보기] 왕도와 치도가 근본을 이루었던 500년 조선사회에서 왕비의 자리에 오르지 않고 대비의 위엄을 누렸던 여인, 소혜왕후. 16살의 어린 나이에 당시 수양대군 이었던 세조의 맏며느리로 들어가, 시아버지 세조와 그 무리들이 지배했던 격동의 세월 속에서 한씨의 처세술은 과연 어떠하였는가. 조선조 가장 학식이 높고 유려했던 정치감각을 지니고 있었던 소혜왕후의 면면을 살펴보도록 하자. ●위기를 기회로 만들 줄 아는 정치감각● 소혜왕후가 20대에 겪었던 풍파는 그야말로 격동의 세월이었다. 수양대군이 이른바 "계유정난"으로 정권을 잡은 뒤, 그의 맏며느리였던 한씨는 당당히 세자빈의 자리에 올라 "폭빈" 이라는 별명까지 받.. 2007. 11. 9.
비운의 왕비,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의 묘 비운의 왕비 폐비 윤씨 묘수난의 서삼릉(3) 서삼릉 비공개 지역에 숨어 있는 연산군 어머니 윤씨(1445-1482)의 회묘를 볼 때마다 김영임이 부르는 '회심곡'의 구슬픈 가락이 묘 주변에서 들려오는 듯하다. 폐비 윤씨 회묘의 겉모습은 왕릉과 다름없다. 오히려 웬만한 왕릉보다 외관상으로는 훨씬 훌륭하다. 묘에서 능으로, 능에서 다시 묘로 격하된 폐비 윤씨의 슬픈 운명이 죽어서도 서삼릉 비공개 지역 끝자락에 숨어서 이렇게 눈물을 감추고 있는 것인가. 연산군의 정성 때문인지 조선전기 양식을 따르고 있는 회묘의 석물은 웅장한 무인석과 문인석, 석호와 석양도 뛰어난 모습을 갖추고 있다. 두 문인석의 얼굴은 한결같이 어둡고 슬픈 표정이다. 마치 폐비 윤씨의 한맺힌 한삼 자락의 슬픔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는 듯하다... 2007. 11. 9.
폐비 윤씨 이야기 - 그녀는 왜 폐비가 되었나? 몇 년 전에 미니홈피에 있던 글이라서 어디까지가 원글인지, 정확한 출처인지 기억이 안납니다. 문제가 생기면 삭제하겠습니다. 알려주세요. 누군가에게 들은 이야기.. 폐비윤씨의 비극을 정확히 이해할려면 이야기는 좀 더 위로 올라가야돼. 때는 세조.(세종의 차남.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했지. 왕이되기전엔 수양대군으로 불렸슴) 세조에겐 아들이 둘 있었는데 첫째가 당연히 세자.(조선의 왕위는 장자승계원칙) 그런데 이 세자가 젊어서 병으로 죽고 20대의 세자빈은 애딸린 청상과부가 됐지. 왕실 법도에 따라 세자빈은 어린 아들 둘을 데리고 친정으로 돌아가. 그리고 세조의 두번째 왕자가 다시 세자가 되어 왕위를 이어받아.(얘가 예종) 그런데 예종이 왕위를 이어받고 얼마 안되서 죽어. 당연히 다시 왕위를 이어야하는데 .. 2007. 11. 9.
조선시대 4대 사화 - 그 원인과 결과는? 조선 중기에 사림파들이 훈구파에 의하여 화를 입은 사건. 원래 '사림(士林)의 화'라는 말로서, 사림파의 입장에서 쓴 말이다. 1498년(연산군 4)의 무오사화(戊午士禍), 1504년의 갑자사화(甲子士禍), 1519년(중종 14)의 기묘사화(己卯士禍), 1545년(명종 즉위)의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있다. 사림이란 용어가 공식적으로 자주 쓰이게 된 것은 학통으로 보아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김종직(金宗直)으로 이어지는 신진사류가 15세기 후반에 중앙정계에 진출하면서부터였다. 성종 연간에 처음으로 김종직·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 등이 정치세력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근거지역을 기준으로 영남사림파와 기호사림파로 나누어지기도 하는데, 주로 비거족계(非鉅族系) 재지사족 출신이 주축이 되고 일.. 2007.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