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복 [上位復] :조선의 국가의례인 오례(五禮)에서 흉례(凶禮)의 절차 가운데 하나인 복(復)을 말함. 상위(上位)란 임금을 가리키는 말이며, 복은 돌아오라, 회복하라는 뜻.
본문
내시(內侍)가 평상시에 입던 임금의 웃옷을 왼쪽으로 메고, 앞 동쪽 지붕 처마로 올라가서 지붕 한가운데 마룻대 위를 밟고, 왼손으로 옷깃을 잡고 오른손으로 옷 허리를 잡고서 북향하여 세 번 상위복이라 불렀음. 동쪽은 생명의 방향을 뜻하며, 북쪽은 죽음의 방향을 뜻하므로 동쪽으로 올라가 북쪽을 향해 외친 것임. 복은 죽음의 길로 가지 말고 돌아오라는 뜻이며, 세 번 부르는 것은 셋을 성스러운 수로 여겼기 때문임. 내상(內喪) 즉 대비나 왕비의 경우라면 중궁복(中宮復)이라고 하였음. 이를 마치면 옷을 앞으로 던지는데 내시가 함으로 이를 받아 들어와서 대행왕(大行王)의 위에 덮고, 덮은 사람은 뒷 서쪽 지붕 처마로 내려갔음.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실려 있음. 민간의 초혼(招魂) 의식과 같음.
용례
복.<내시가 상시에 입고 있는 상의를 왼쪽에 메고 앞 동쪽 처마로부터 올라가서 왼손으로 옷깃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허리를 잡고 북쪽을 향하여 세 번 부르기를, “상께서는 돌아오소서.” 하였다.> (원문)復<內侍以常御上服 左荷之 陞自前東霤 左執領 右執腰 北向三呼曰 上位復> [순조실록 권제34, 21장 뒤쪽, 순조 34년 11월 13일(갑술)]
[조선시대 왕의 장례식]
국상은 국가사업에 비견될 정도로 많은 경비와 인력이 소요되는 중대사로, 새로 등극한 왕이 맡게 되는 첫번째 국사이기도 했다. 국상 절차는 [국조오례의]의 규정에 따라 행해졌으며 5개월 장으로 지냈다. (기간이 길었던 이유는 왕릉을 조성할 시간을 갖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1. 임종과 장례준비
<국조오례의>에는 왕의 임종이 다가오면 법궁인 경복궁의 사정전으로 모셔 왕의 유언의 날조 가능성을 막고자 하였으나 실제로 사정전에서 임종을 맞이한 왕은 하나도 없었다.
영조실록.정조실록 中
- 영조 52년 (1776년 병신년) 3월 3일 : 임금의 병환이 악화되다
- 같은 해 3월 5일 : 묘시에 임금이 경희궁의 집경당에서 승하하다
- 같은 해 3월 12일 : 대행 대왕의 시호·묘호·전호·능호를 정하다
- 같은 해 7월 27일 : 유시에 원릉에 장사하다
2. 국휼고명과 촉광례
왕의 병환이 위급해지면 액정서에서 평소 왕이 정사를 돌보던 곳에 휘장을 치고 병풍을 두른 후 왕세자와 대신들을 불러놓고 왕세자에게 왕위를 넘겨준다는 마지막 왕위를 전하는 유교를 작성하게 하며, 이것을 국휼고명이라고 한다. 숨이 멎으려 하면 머리를 동쪽으로 향하게 하였다.
돌아가시면 왕의 입과 코 사이에 명주솜(고운 햇솜)을 얹어 놓고 솜이 움직이는 지를 보았다. 이 절차를 촉광례(觸纊禮) 또는 속광이라고 했으며, 솜이 전혀 움직이지 않으면 왕의 몸에서 혼이 완전히 떠난 것으로 생각하였다.
왕의 임종을 지키던 사람들은 임종을 확인하고 나면 이 순간부터 곡(哭)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왕의 혼이 죽은 자의 혼들이 모여 있는 북쪽으로 더 멀리 가기 전에 다시 불러오는 초혼(招魂)의식, 즉 복(復)을 하였다. 혼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기간은 5일 이었고, 이 동안은 왕이 계속 살아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세자가 즉위하지 않았다. 5일이 지나도 왕이 되살아 나지 않으면 입관을 하고 세자의 즉위식을 치렀다.
3. 고복(초혼과 발상의식)과 빈소
왕을 가까이에서 모시던 내시는 복의(죽은 왕이 평상시 입던 옷)를 들고 왕이 승하한 궁의 지붕으로 올라가 북쪽을 향하여 왼손으로는 옷의 깃을, 오른손으로는 옷의 허리를 잡고 흔들며 '상위복'(왕이여 돌아오소서)을 세번 외치고 돌아와 복의로 왕의 시신을 덮고 곡을 한다. 이를 고복이라 하는데 상위복을 외치는 것은 왕의 혼으로 하여금 자신의 체취가 밴 옷을 보고 다시 돌아오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 의식이 끝나면 국상을 선포한다.
이후 왕의 빈소를 마련하고 육신을 떠난 혼을 위해서 혼이 의지할 수 있도록 흰색비단을 묶어 혼백을 만들어 관 앞에 두었다. 왕세자와 대군 이하의 친자, 왕비와 내명부 등은 모두 관과 웃옷을 벗고 머리를 풀며 비취, 노리개 등의 사치스러운 것을 제거한 뒤 흰옷과 흰 신과 거친 베로 된 버선을 신으며 3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는다. 이를 역복불식이라 한다.
4. 빈전도감, 국장도감, 산릉도감 설치
왕의 시신을 안치하는 빈전에 소렴과 대렴에 입을 옷, 찬궁(관을 설치하는 일), 성복(상복을 입는 일) 등을 맡는 '빈전도감'과 장례기간 동안 제사와 의례(염, 습 등)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국장도감', 그리고 왕릉 축조를 담당하는 '산릉도감'이 설치되었다. 병조에서는 전국에 계엄령을 내리고 군사들을 동원해 도성의 성문과 대궐을 겹겹이 둘러싸고 통제합니다. (장례가 끝나는 날까지)
5. 목욕례와 습 및 반함
왕이 임종한 날에 시신을 목욕시키는 목욕례를 행하는데, 머리와 상체는 기장뜨물과 쌀뜨물을, 하체는 단향(향내나는 나무)을 달인 물을 사용하였다. 목욕례 후에는 흰 비단옷을 9겹으로 입히는 습을 행하였고, 그 뒤에는 시신의 입에 쌀과 진주를 넣는 반함을 하였다. 입 오른쪽에 쌀을 채우고 진주를 함께 넣은 후 왼쪽과 가운데 부분도 그와 같이 하였다. 이를 반함이라 한다. 내시들이 왕세자·대군·왕비·내명부빈·왕세자빈 등의 위(자리)를 마련하고 각자의 위에 나아가 곡을 하는데 이를 위위곡이라 했다.
6. 염과 입관
반함 이후 왕의 시신을 평상에 모셨는데, 그 앞에는 ‘대행왕재궁(大行王梓宮)’이라고 쓴 명정(銘旌)을 설치했다. 죽은 지 2∼3일 내에 하는 소렴(小殮)에는 겹옷, 겹이불로 19겹을 입힌다. 소렴에서는 다시 살아나기를 기다린다는 의미로 끈으로 묶지도 않고 얼굴을 덮지도 않았다. 4∼5일 후에 하는 대렴(大殮)에는 90겹의 수의를 입힌 뒤 입관한다. (5개월이나 되는 긴 장례기간 동안 시신에서 나는 악취를 막기 위한 나름의 지혜일 수도.)
반함 이후에는 왕의 시신을 평상에 모셨는데 평상 밑에는 빙반이라고 하여 석빙고에서 떠온 얼음을 채워 시원하게 했다. (시신의 부패를 막기 위함) 평상 앞에는 붉은 비단에 대행왕재궁이라고 쓴 명정(죽은 자의 관직명을 쓴 깃발)을 설치했다.
7. 성복과 졸곡제
염이 끝나고 입관을 하면 왕과의 관계에 따라 왕세자 이하 모두 상복을 입게 된다. 이를 성복이라 한다. (보통 상이 난 지 나흘 정도 지난 뒤 입게 됩니다) 왕과 부자 관계이면 3년 복, 조손(할아버지와 손자)관계이면 1년 복을 입고 모든 신하들과 백성들은 흰 소복을 입는다. (관리들의 경우 5일 입었다고 한다) 이후 빈전에 아침과 저녁의 문안과 곡(조석곡전급상식),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지내는 예식(삭.망전)이 장례날까지 이어진다.
승하 후 보통 3개월이 지난 뒤 졸곡제를 행하는데 졸곡 전까지 음악과 혼인 및 도살이 금지된다. 왕의 시신이 들어가는 관인 재궁(梓宮)은 안의 ‘벽[稗]’과 바깥의 ‘대관(大棺)’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이었다.
입관 후 왕은 유교 예법에 따라 5개월 만에 국장(國葬)을 치렀는데, 이 기간동안 시신을 모시는 곳을 빈전(殯殿)이라 하였다. ‘빈(殯)’이란 집안 내에 시신을 가매장한 장소를 뜻하며 빈전은 왕이 임종한 곳에서 편리에 따라 적당한 건물에 설치했다. 이 기간 동안 후계왕은 빈전 옆의 여막에 거처하면서 수시로 찾아와 곡을 함으로써 어버이를 잃은 자식의 슬픔을 다하였다.
8. 사위와 반교서
성복례가 끝나면 왕이 자리를 비워 둘 수가 없기 때문에 왕세자가 왕위를 계승한다. 이때 새 왕의 복장은 즉위시에는 면복(면류관과 곤룡포)을 입고, 졸곡 후 국사를 볼 때 백포(白袍)와 익선관을 사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왕위에 오른 뒤 그 사실을 교서로 대내외에 알리고(반교서) 국정을 처리하였다.
9. 상시책봉과 장사
대행 왕의 시호를 책정하여 종묘에 고유한 뒤 빈전에서 상시(죽은 임금에게 묘호를 올리는 것)의 예를 행한다. 이를 상시책봉이라 한다. 장례식은 왕릉이 모두 완성된 후 길일을 골라 행한다.
계빈(발인하기 전날 빈전의 문을 열고 관을 닦고 점검한다)
조전(빈전에 예찬을 갖춘 뒤 왕이 직접 배곡하고 술을 올려 발인할 것을 고하고 관을 빈전에서 상여로 옮긴다)
견전(관을 상여로 옮기기 전에 중문 밖에서 상여로 옮긴다는 사유를 고한다)
발인(상여를 수행할 문무백관의 반차를 정하고 빈전을 출발하여 묘지로 향한다)
노제(발인하여 상여를 운반하는 중로에서 도성을 떠난다는 고유한다)
천전(상여가 장지에 도착하여 관을 현궁(관을 모실 구덩이)으로 운반하고 예찬을 갖추어 술잔을 드린 뒤 하관)
초우제(장사후 첫번째 지내는 제사로 보통 당일날 지냄)
반우제(신주를 모셔 오는 예식을 말합니다)
재우제(두번째 제사)
삼우제(세번째 제사)
관련기사
이산 영조 붕어로 본 조선왕실 장례절차는 ?
'읽을 거리 > 재미있는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영조의 업적 - 애민군주이자 실패한 아버지, 영조 탕평책의 태생적인 한계 (3) | 2011.07.02 |
---|---|
남근 숭배 문화 - 강원도 삼척 애바우 마을 해신당공원 (0) | 2011.03.15 |
재미있는 조선시대 왕들의 야사 일부.. (0) | 2011.03.14 |
정조 - 통치자이자 스승, 학문정치의 주역, 천재군주, 학자이자 문예군주, 무인군주였던 정조의 업적, 정조의 모든 것. (12) | 2008.06.05 |
영조금보, 사도세자 글씨, 사도세자 편지, 영조 친필, 평암집, 어제사도세자묘지문, 사도세자 추존 영남만인소 (14) | 2008.04.24 |
정순왕후 간택 일화와 정순왕후의 일생, 그녀의 악행들 (49) | 2008.04.08 |